논문 상세보기

A Questionnaire Study on Consumers’Awareness of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KCI 등재

안경사법에 대한 일반 소비자 집단의 인식도 설문 조사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8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이 설문 연구는 안경사법에 대한 일반소비자 집단의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로부터 안경사법을 입 법하기 위한 효과적인 입법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일반인 200 명을 상대로 무작위 1대1 대면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그 결과를 시력교정 경험자와 미경험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 소비자 집단의 안경원법에 대한 인식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그로 인하여 안경사법에 대 한 찬반 의견이나 안경사법의 통과 가능성을 묻는 설문에도 ‘모르겠다’는 중립적 답변이 매우 많았다. 안경 사법이 통과되기 어려운 이유와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묻는 설문에서는, ‘안과의사들의 반대’와 ‘국민적 합 의 미흡’을 이유로 답하고 해결 방법도 ‘안과의사들과의 합의’와 ‘국민적 합의 제고’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 다. 안경사의 타각적 굴절검사가 허용되면 수용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60%를 넘었으며, 안경사의 타각 적 굴절검사는 의료행위가 아닌 광학적 측정이라는 답변 또한 높은 응답률을 기록하였다. 결론 : 안경사법의 입법 과정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낮은 인식도가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안경사법의 입법을 위해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를 강화하고, 안과의사 집단과의 합의에 주 력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설문 결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 집단은 타각적 굴절검사 가 의료행위라는 인식이 약하고 안경사의 타각적 굴절검사 수용에 적극적이므로, 안경사법의 내용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강화된다면 안경사법의 입법 과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Purpose: This survey aimed to investigate awareness of consumers on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and then to derive an effective legislative strategy for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Methods: From May to August in 2016, a randomized one-to-o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00 consumers in Seoul,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uch as the optical correction-experienced and the optical correction-inexperienced groups. Results: The consumers' awareness on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was very low. Hence, many of them answered a neutral position on the questionnaire that asked about the pros and cons of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and the possibility of legislation of the law. In the questions about the reason why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is difficult to pass the national assembly, and how it could be sorted it out, the respondents mentioned a few number of reasons, such as ‘opposition by ophthalmologists’ and ‘lack of national consensus’, and also suggested some solutions for them, such as ‘agreement with ophthalmologists’ and ‘upgrading national consensus’. On questions of whether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were adopted, more than 6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optical technologist’s objective refraction was acceptable. And more than 40% of them did not consider the objective refraction as medical treatment but just as optical measurement. Conclusions: We could find out that low awareness of consumers is a big obstacle to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In order to enact that, it would be forecasted through the survey results, showing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strengthen the public relations for consumers, and also to focus on agreement with ophthalmologists. Since consumers do not consider optical technologist’s objective refraction as medical treatment and also do not show enthusiastic attitudes to optical technologist’s objective refraction, it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highly to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optical technologist law if public relations of consumers on the contents of the law is strengthened.

저자
  • Young Hun Kim(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영훈
  • Jae Hyung Jeong(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재형
  • Dal-Young Kim(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달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