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목포항 주변해역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동 특성

Variations in marine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around Mokpo harbou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857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목포항을 중심으로 영산강 하구둑과 장좌도 동북방 해역에 대한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월별 수질 변화 및 식 물플랑크톤 변동을 파악하여 목포항의 오염 현황과 생태계의 건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수온, 염분 등과 같은 환경요인은 하구둑 근해 수역에서 월별, 계절벌 변화가 큰 것으로 보이며, 장좌도 근해수역까지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은 해양환경의 변화에 비하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목포항 주면 수연은 6년 동안 하구둑의 담류 방류에 의한 인근 수역의 월별, 연도별 해양환경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식물플랓크콘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미비한 것으로 보여 해양생태계의 기본적 먹이공급에는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clarify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marine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around Makpo harbour during the period of 2004-2006. Environmental parameters including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much fluctuations in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at different month and season, which was contributed with Jangwado.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was less variation th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freshwater releasing from Yongsan River esttuarine bay is assocaited with much monthly and seasonal fluctuations, but less impact of phytoplankton compositions during six years.

저자
  • 조은섭(남서해수산연구소) | Eun-Seob Cho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