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권 근현대사 연구성과와 과제 KCI 등재

Achievement and Task of Studies on Modern History in the Mt. Jiri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342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3.03.30.2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2007년 9월부터 10년 동안 인문한국(HK)사업으로 지리산권 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근현 대사 영역에 한정하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와 방향을 모 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근현대사 영역에서 사업단 실적은 자료집 발간 총 7권, 사업단 소속 연구 자 논문 9편이며, 사업단에서 주최한 학술대회에 외부 연구자로 참여하여 그 성 과물을 사업단 저작물에 실은 논문은 5편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자료집과 연 구논문이라는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논문은 주 제별로 검토할 경우 유형화할 수 없는 논문이 있기 때문에 편의적으로 근대시 기와 현대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근대사 연구는 동학농민혁명에 집중된 편이다. 이러한 논문은 지리산권 동학 농민혁명의 구체적인 전모, 지역별 확산과정과 향촌사회의 대응, 남원지역의 동학 포교와 조직화 과정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한말 의병장 고광순의 지리산 근거지론을 탐색함으로써 지리산이 의병의 장기항전의 근거지로 주목을 받았 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밖에도 지리산권 지식인 황현의 연구사 정리, 지리 산권의 근대학교 설립 등을 다룬 논문이 있다. 현대사 연구는 여순사건과 빨치산 활동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 순사건을 둘러싼 정부와 국회의 대립 양상이나 수습방안, 여순사건의 주도층이 었던 14연대가 지리산으로 입산하는 과정, 그리고 지리산 지역에서 유격대를 조직하여 빨치산 활동을 전개한 전모, 빨치산 활동에 영향을 받은 지역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서 드러난 한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전망하였다. 먼저 연구 시기의 편중성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일제시기, 해방 3년기, 한국전 쟁 이후 시기, 산업화시기로 넓혀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 상으로써 지역공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지리산권역을 지리산과 인접한 지역 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현 시기에 맞게 적절하게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셋째, 연구 주제가 운동사에 집중된 편이다. 지리산권역에서 펼 쳐진 사회, 경제적인 변동과 그에 따른 문화 양상의 변화상을 탐구한 연구는 거 의 없다. 따라서 지리산권역이 담아내고 있는 정체성과 다양한 가치를 파악하 기 위해서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사회변동이나 문화 양상을 탐색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생활사, 일상사 연구가 필요하다. 일상사 연구는 주변화 되거나 배제된 지역민의 경험과 실천을 재현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 다. 넷째, 기초자료의 정리‧분석과 발간 작업을 보다 활발히 할 필요가 있다. 지 역사 연구의 활성화, 체계화를 위해서는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기초자료의 수 집과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The Center for Mt, Jiri Region Cultural Studies has carried out comprehnesive research about the culture of the Mt. Jiri region for 10 years since 2007 Septemb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chievement of the studies on modern Korean history and to seek direction of the next task.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s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e era of the 19th century for recent 10 years. These articles explained the whole 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Mt. Jiri region, the regional expansion of the revolution, the reaction of the local society against the revolution, and the missionary work of Donghak in Namwon and organizing believers of Donghak. One of the those studies illuminated that Mt. Jiri received attention as the base of the Righteous Armies with research on the strategy of Go Gwangsoon, a leader of the Righteous Army's struggle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In addition, a few articles were written about research history of Hwang Hyeon, an intellectual of the Mt. Jiri region, and foundation of modern schools in the Mt. Jiri area. Studies of history after 1945 have been centered on Yosun incident and partisan activities. With these studies,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R.O.K government and the congress, measure to handle the incident and the 14th regiment's entering into Mt. Jiri were researched. Also, studies investigated whole story of partisan movement organized in the Mt. Jiri region and the situation of the areas affected by the partisan activities. I'd like to check the exposed limit with the above review and present outlook for the future. Firstly, researched period was focused excessively on the several year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The studies should extend the period of research into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3 years after the liberation, postwar times of the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times, and invigorate the research about them. Secondly, we should enlarge the local space for research. It is most important thing to decide appropriate scope for research area according to these days' standard, beyond defining the Mt. Jiri region as the area adjacent to Mt. Jiri. Thirdly, movement history was intensively studied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Few of the socioeconomic changes and the cultural transformation caused by those changes in the Mt. Jiri region was investigated. Therefore, we should seek the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social changes or culture ahead to understand the Mt. Jiri region's identity and its various value. Also, we need to study history of daily life because it is significant to represent isolated or exclud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nativ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alyze and publish basic materials more actively. The basic materials lying scattered in local area should be compiled and arranged ahead to activate and systemize local history.

저자
  • 임송자(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 Yim, Song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