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옵티멀솔루션 요소가 온라인 샌드박스 게임효용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Optimal Solution' factor in utility of online sandbox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4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샌드박스 게임은 높은 자유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플레이패턴을 재창조하며 만족을 배가시킨다. 이러한 창조적 과정은 ‘커스터마이징’과 ‘행동자율성’을 통한 놀이의 확장성에 기인한다. 이는 즐거움을 느끼는 요소가 과정지향적이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본고는 샌드박스형 게임이 다중경쟁 환경에서 가지는 구조적한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스텐드어론 기반에서는 다양한 커스터마 이징을 통한 자유도의 확장성이 유저에게 월드지속성에 강한 동기를 부여한다. 반면 MMORPG와 같은 온라인 샌드박스 게임물에서는 다수유저의 경쟁 우위를 점하고자하는 목적지향적 성향이 샌드 박스형 게임 본연의 자유도와 확장성을 구사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온라인 기반의 샌드박스형 게임의 자유도와 확장성의 효용이 상쇄되는 원인과 성장한계를 옵티 멀솔루션 요소에 기인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Sandbox game users can double their satisfaction by re-creating a variety of play patterns. This creative process is due to the expansion of play through ‘customizing' and ‘action aut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freedom of online game. In a standalone game, the scalability due to the degree of freedom gives the user a strong motivation for world persistence. On the other hand, in online sandbox games such as MMORPG, it is confirmed that the goal-oriented tendency to gain advantage is the inherent limit of the freedom and expandability of the sandbox gam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cause and limit of growth of online-based sandbox game can be offset by the optimal solution factor.

저자
  • 탁연숙(원광대학교 교양교육대학) | Yeon-Suk Tak (Dept. of it Liberal Art,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