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KCI 등재

A Study on the Excursion Routes of Mt. Geumg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430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5.09.30.3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17세기까지 금강산을 유람한 인물은 모두 32명이며, 이들이 남긴 유람록 작품은 모두 37편이다. 이들이 금강산을 유람한 유람 경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금강산을 찾아가는 유람 경로, 금강 산을 유람하는 과정의 유람 경로, 유람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의 유람 경로이다. 여기에서 다시 금강산 내에서의 유람 경로는 내산에서 유람 을 시작하는 경우와 외산에서 유람을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비로 봉을 등정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17세기까지 금강산 유람록에 나타난 금강산 유람 경로의 특징은 다 섯 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유람 인물은 한양, 근기지역 중심이었다는 점이며, 둘째 금강산 유람은 주로 내산 중심이었다는 점 이고, 셋째 금강산 유람지의 명칭이 변천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 유람객들의 숙식처는 사찰이었으며, 금강산 내에서의 경로는 주로 승 려들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점이며, 다섯째 유람 기일에 따라 유람의 경로와 일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들은 오늘날과 비교해 보았을 때 후대로 갈수록 다른 양상 으로 나타나게 되리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금강산 유람 인물이 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고, 외산 쪽으로 새로운 유람 경로 가 등장하게 되며, 오늘날 사용하는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 등의 용어 가 시대적 추이에 따라 등장하게 되리란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리 고 금강산 내에서의 유람 경로도 점차적으로 다양화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were total 32 people that went sightseeing to Mt. Geumgang until the 17th century, and they left total 37 travel essays. The routes they took to go sightseeing to Mt. Geumga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he excursion route to Mt. Geumgang, the excursion route in the process of sightseeing at Mt. Geumgang, and the excursion route back home after sightseeing. The excursion route at Mt. Geumgang can further be divided into the one that started sightseeing at the inner part of the mountain and the one that started sightseeing at the outer part of the mountain. The excursion route can also be divided into the one that passed Biro Peak and the one that did not pass the peak. The present study summarized the excursion routes around Mt. Geumgang in its travel essays until the 17th century into f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sightseers were mainly from Hanyang and Geungi areas; second, sightseeing at Mt. Geumgang was mainly around its inner part; third, they did not use the terms of Naegeumgang, Oigeumgang, and Haegeumgang; fourth, the sightseers of the mountain cited Jangan, Pyohun, Jeongyang, and Yujeom Buddhist Temples as the four major Buddhist Temple in the mountain; finally, they took various excursion routes and itineraries according to their travel dates. When thos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oday,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taken different patterns over time. Sightseers of Mt. Geumgang would be distributed more around the nation; new excursion routes would appear in the outer part of the mountain; and today's terms such as Naegeumgang, Oigeumgang, and Haegeumgang would emerg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excursion routes in the mountain would be diversified gradually in the process.

저자
  • 李永淑(경상대학교 한문학과 외래교수) | Lee, Young-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