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관객과 용이한 소통을 하고자 전통춤을 재창작한 <3인 정읍설장고춤>의 작품분석 을 통하여 전통춤의 재창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작품분석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한 다 각도 분석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작품분석을 위해서는 <3인 정읍설장고춤>을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이 텍스트를 구성하는 동작·음악·의상 등의 코텍스트(co-text)와 맥락·안무자와 안무의도 등의 컨텍스트(context)등을 밝히고 이러한 텍스트들의 내외적인 상호교차 속에서 작품을 해석하 는 방법인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이론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작품분석을 한 결과 도출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가락중심의 설장고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였다. 둘째, 스토리텔 링의 방식은 해학적 표현을 기반으로 한다. 셋째, 스토리텔링의 해학적 표현은 동선·제스츄어·움직임·의상의 변용과 확대 그리고 현대적 해석을 통해 표출된다. 넷째, 위의 세 가지 요소는 신명성을 배가시켜 동시대적 신명으로의 전환을 창출하였다. 위와 같은 특징은 관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재미있고 대중성을 확보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전통춤의 추상성을 극복 하고 전통춤의 박제화를 지양하는 동시에 동시대의 관객과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춤의 재창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measures for reinvention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an analysis on the work <Three-men Jeongeup Seoljanggo Dance> which is a reinvented work of traditional dance. For methodologies, this study utilizes analytical methods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expert group meetings. For the analysis on work, seeing <Three-men Jeongeup Seoljanggo Dance> as a text, this study determines co-text composing this text which is movements, music, costumes and context such as choreographers and purposes of choreography. The study i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theory which is to interpret works in this internal and external crossing of texts.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results on the works characteristics from the analysis on the work based on intertextuality are as follows. First, it adopts story telling technique into Seoljanggo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melody-centered. Second, the method of story telling is based on humorous expressions. Third, the humorous expressions of story telling are shown through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flow, gestures, movements and costumes and modernized interpretation. Fourth, the three elements above double the Shinmyeong in the work and create the changeover into contemporary Shinmyeong. The characteristics above work as elements to enable smooth communication with audience so they are credited to make the work be evaluated as one that secures both fun and popular appeal. To sum 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seeks to overcome abstractness of traditional dance and to sublate stuffing the traditional dance while it concretely suggests measures for reinven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