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성무용수 이미지에 대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인식 차이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age of Male Dancers between Dance Majors and Non-Maj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3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남성무용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구성하 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무용수 이미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무선집락표집 (cluster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각각 150명씩 표집하였다. 장동환(1964)에서 밝혀낸 50개의 형용사군을 기초로 하고, 박경숙(1974), 이학주(2000), 정애연(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형용사군을 참고하여 총 30개의 형용사군을 골라 척도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날씬하다’ 항목이 전공유무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항목에 대해서는 무용 전공자는 ‘안전하다’의 항목이, 비전공자는 ‘대하기쉽다’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무용수의 이미지는 전공유무에 관계없이 중간점수인 3점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 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무용수 이미지에 대한 갭을 살펴보면 ‘능력있다 ’항목이 차이가 가장 크 게 나타났다. 넷째, 7개의 항목은 무용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23개의 문항에서 비전 공자의 남성무용수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남성무용수에 대한 인식은 전공유무에 상관없이 대체 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constitute the overall image of male dancers which dance majors and non-majors recognize, and draw suggestions to improve the image of dancer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ampled 150 dance majors and 150 non-majors, aged more than 20, with the use of cluster random sampling. This study chose a total of 30 adjectives as a scale on the basis of 50 adjectives revealed by Dong-hwan Jang (1964) and in reference to adjectives which were used by Gyeong-suk Park(1974), Hak-ju Lee(2000), and Ae-yeon Jeong (2007).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tem of ‘slim’ appeared most positively regardless of major. As for negative items, the item of ‘safe’ was found in dance majors, and the item of ‘easy-to-face’ was found in non-majors. Secondly, the image of male dancers scored three points (mid points on the scale), which means that it generally appeared positively regardless of major. Thirdly, regarding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age of dancers between dance majors and non-majors, the item of ‘competent’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Fourthly, seven items appeared more positively in dance majors than in non-majors, but other 23 items appeared more positive in non-majors than in dance majors, in terms of the image of male dancers. Given the above results, generally the perception of male dancers, which dance majors and non-majors have had, appeared positively regardless of majo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남성무용수에 대한 인식
2.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남성무용수 이미지 갭(GAP)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배성한(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 Bae, Sung-Han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