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대상 예술통합형 창의적 움직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Movement Education by Art Integration for Sen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3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움직임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도된 연구로서 예술통합 형 무용교육의 접근방법을 고민하고, 창의적인 움직임 표현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안을 구 성하여 현장에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학습자는 만 60세 이상 노인 약 20명이다. 수업은 서울시 G구에 소재한 N노인종합복지관에서 2013년 2 월 22일 1차시를 시작으로 4월 12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12시, 2시간동안 총 7차 시 진행하였다. 개개인의 특성과 경험, 그리고 잠재력 등을 바탕으로 예술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인대 상의 예술통합형 창의적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의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적용된 본 수업은 대부분 무리 없이 진행되었고, 이는 노년층 학습자들에 게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만들어 냈다’는 성취감 등을 심어주는 데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내도록 제공된 단계별 과정은 생각 → 정리 → 표현의 과정으로 진행되면서 창의 적인 동작을 만들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요성을 더욱 실감할 수 있었다. 셋째, 예술교육에 있어서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연령층의 구분에 따라 교사가 과제 수행 가능성을 판단하여 ‘하고자 하는 기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예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통을 중요시하는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 대상자가 다른 세대(연령층)의 특정 기호나 문화를 경험 해보도록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학습자의 사고나 생각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현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노인무용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궁극적 으로는 노인대상의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보다 넓은 시장의 개척으로 무용학문의 가치를 증대시 키고자 한다. 이는 노인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 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the various approaches to dance education by art integration were analyz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creative movement education for older adults. A specific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and implemented to draw out creative movement expressive activities, and as a result, the potential of such creative movement education was considered through a case analysis. The creative movement education program that was conducted applied an art integration method: seven classes were held, each of which lasted two hours, from 10:00 a.m. to 12:00 p.m. every Friday at the N-Senior Center, in G-Gu, Seoul. The first class was held on February 22, 2013, and consisted of 20 participants who were aged 60 or older. The lessons were managed by two instructors, one main instructor and one assistant. Through observing these seven clas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is study considered in great detail the number of options available to older adults who are distressed psychologically, and proposed ways of encouraging them to active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an education program, which incorporates hands-on artistic activitie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not only presents ways of solving the social problems amongst the elderly but also can serve as an area of study that highlights the tremendous potential of art education and the role that it can play in socie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왜 예술통합적 방법인가?
Ⅳ. 노인대상 예술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움직임교육 프로그램 구성
Ⅴ. 현장 들어가기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현주(한국라반움직임연구소 소장) | Kim, Hyun-joo (The Korea Laban Movement Insiti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