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자아탄력성이 무용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예술고 무용전공 학생들의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및 전라북도, 충청남도에 소재한 4개의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40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술고 무 용전공자들의 낙관적 태도와 대인관계 효율감은 실기능력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낙관적 태도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고 무용전공자들의 낙관적 태도는 이해능력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 변수 중 낙관적 태도는 무용성취능력의 모든 변수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예술고 무용전공 자들의 무용능력성취를 위해 낙관적 태도 함양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empirical data to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s High School by examining closely the effect of their ego-resilience on the dance achievement. Study subjects were students majoring in dance from four Arts High School located in Kyonggi-Do,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as being considered as a population. Data of 240 number were employed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o test hypothe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for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s High School, an optimistic attitude and a sense of interpersonal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s of practical technique ability. Especially, it appeared that an optimistic attitude exerts a strong influence.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an optimistic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s of comprehension ability. In particular, an optimistic attitude, one of the sub-variables of self-resilience, had strong effects on all variables for dance achievement ability.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an effort to cultivate an optimistic attitude for improving dance achievement ability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s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