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on the Dance Creative Ability in Dance Maj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4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이 연구에서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D대학교 무용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18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 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에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창작 능력의 각 하위영역인 독창성에서 t=-23.091, p<.05 수준, 다양성에서 t=-39.355, p<.05 수준, 표현력에서 t=-63.778, p<.05 수준, 구성력에서 t=-26.870, p<.05 수준, 그리고 연속성에서 t=-47.343, p<.05 수준으로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창작 능력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창작 능력을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 그리고 연속성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의 각 하위영역인 독창성(F=15.143, p<.05), 다양성(F=70.447, p<.05), 표현력(F=20.751, p<.05), 구성력 (F=25.456, p<.05), 그리고 연속성(F=57.983, p<.05)에 영향을 미치고, 무용창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결론과 함께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18 of the Dance majors in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Therapy on dance majors with regards to their dance creativit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ose collected were analys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nce creative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of who did not. The examination of the dance creative ability at each lower area produced t=-23.091, p<.05 in orignality, t=-39.355, p<.05 in diversity, t=-63.778, p<.05 in expressiveness, t=-26.870, p<.05 in organizing power, and t=-47.343, p<.05 in continuity,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test on the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made greater improvement in the dance creative ability in general,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Dance Majors in the dance creative ability.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test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F=15.143, p<.05 in originality, F=70.447, p<.05 in diversity, F=20.751, p<.05 in expressiveness, F=25.456, p<.05 in organizing power, and F=57.983, p<.05 in continuity,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mary, the study indicat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dance majors in the dance creative ability and the effects were positive across the board.

저자
  • 김정은(동덕여자대학교 무용학과 강사) | Kim, Jung-Eun (Dongduk women’s University)
  • 이연수(동덕여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 Lee, Yeon-Soo (Dongduk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