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동기시대 중기 울산지역 취락구조의 특징 - 울산 무거동 옥현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Settlement Structure in Ulsan Area in the Middle Bronze Age- Focused on the materials of the Okhyeon sit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이 논문은 울산 무거동 옥현유적의 자료를 중심으로 옥현유적의 취락구조와 출토유물양상을 검토하여 주거지의 규모나 배치양상에 따라 주거군집을 설정하고, 출토유물양상에 따른 각 주거군집의 특징을 파악 하여 당시의 생업경제활동이 취락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옥현유적에서 확인된 주거지는 독립 구릉의 능선부에 형성된 4개의 정상부와 그 사이 소곡부를 기준으 로 4개의 주거군집으로 나누었다. Ⅰ·Ⅱ군은 주거지 2~3기가 소군집을 이루고, Ⅲ·Ⅳ군은 대형주거지 3 기와 다수의 중형, 소형주거지들이 소군집을 이루고 있다. Ⅰ·Ⅱ군은 Ⅲ·Ⅳ군에 비해 공지가 많아 취락 전체의 집회나 회의 등의 장소인 광장의 기능이 보다 더 강조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Ⅲ군은 주거지의 밀 집도가 높고 농경구를 비롯하여 모든 생업경제활동과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어 논 경작을 중심으로 생업경 제활동을 주도한 주거군으로 파악된다. 옥현유적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논은 논경작에 유리한 입지선정 과 논둑과 수구, 수로 등 물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통해 당시의 농경기술의 체계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울산지역 취락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옥현유적과 비교하면 한 구릉내에서 정형화된 구조의 주거지가 축조되고, 일정한 배치양상을 가지고 주거지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양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 다. 대부분의 취락이 주거중심의 생활공간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생업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울산지역에서 옥현, 입암리유적을 제외하면 비교적 큰 규모의 경작유구(논)가 확인된 예가 없고, 출토유물 중 농경구보 다 수렵구, 어로구의 비중이 더 높다는 점에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수렵과 어로를 통한 생업경제활동이 울 산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중기에도 활발하게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residential clustering according to the scales and layout patterns of dwellings based on the materials of the Okhyeon sit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lustering based on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excavated artifacts and to understand how economic activities for livelihood were conducted within the settlement at the time. The residential area identified in the Okhyeon site is divided into four residential clustering sections based on the four summit areas formed along the ridge of the independent hill and the valleys between them. Section Ⅰand Ⅱ consists of two to three residential houses while section Ⅲ and Ⅳ are comprised of three large residential houses together with many small and mid-sized ones. Section Ⅰand Ⅱ feature more open land than section Ⅲ and Ⅳ, seemingly placing more emphasis on the function of the square intended for assembly or meeting of the residents in the whole village, and section Ⅲ has residential dwellings more densely arranged with the relics related to the economic activities for livelihood, including agricultural tools excavated, indicating its purpose of serving as a key cluster designated for economic activities for livelihood with focus on rice cultivation. The use of irrigation system, including ridge, ditch, and waterway favorable to rice cultivation demonstrates that the agricultural technology at that time was systematized to a certain extent. Compared with the Okhyeon sit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ettlement in Ulsan area, there are similarities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dwellings in standardized pattern and clustering in a consistent layout and arrangement. A majority of the area in dwelling settlement consists of residential living spaces only. When it comes to economic activities for livelihood, no agricultural tools and equipment have been found in Ulsan area except in the site of Okhyeon and Ibam-ri, and more hunting and fishing tools than agricultural ones have been found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indicating the continuance of hunting and fishing that served as main livelihood economic activities of early Bronze Age in Ulsan area through to the middle Bronze Age as well.

목차
Ⅰ.머리말
 Ⅱ. 유적의 시기 검토
  1. 유물출토양상
  2. 편년
 Ⅲ. 취락구조와 생계경제
  1. 취락구조
  2. 생업경제활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배길희(중부고고학연구소) | Bae Gilhee (Jungbu Institute for Archa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