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udy on the Calculated and Actual Magnification of Optical Aids for Low Vision Rehabilitation KCI 등재

저시력 환자용 광학적 시보조기구의 계산배율과 처방배율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7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저시력 환자용 광학 보조기구 업체에서 제공하는 계산배율과 실체 처방할 때 사용하는 배율을 비 교하고 최대조절력이 배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인 16명, 저시력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원거리 시력과 기대 시력을 바탕으로 배율을 계산하여 실제 처방 배율과 비교하였다. 최대조절력은 란돌트링을 사용한 푸쉬업 테스트로 측정하였다. 결과: 저시력 환자에서 실제 처방배율은 계산배율 보다 1.17배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p=0.67). 상호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92). 최대조절력은 배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시력 환자용 시보조기의 배율을 결정할 때 시보조기구 회사에서 제시하는 배율을 참고하여 시작 업 환경에 적합하게 조정하여 최종 처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oretically calculated magnification to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and investigate if the magnification is affected by the max. accommodation. Methods: The calculated magnification estimated by visual acuity for distance and the required visual acuity was compared to the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for use for 16 normal and 27 low vision subjects. Max. accommodation was measured by push-up test with Landolt ring. Results: The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was 1.17 times higher than calculated magnification but they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0.67). Both were good correlated (r=0.92). It showed that the magnification was not affected by max. accommodation.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best way to adjust the magnification with guide to the one recommended by the optical manufacture when to determine the magnification for patient with low vision.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References
저자
  • Jae-Myoung Seo(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 서재명 Corresponding author
  • Daniela Quedenfeld(EuroEyes® AugenLaserZentrum Dres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