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 인력양성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을 대상으로 KCI 등재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Focusing Energy HRD Proje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9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연구는 에너지 인력양성사업을 중심으로 국가의 R&D 사업의 성과를 분석 하고, 성과지표 개선방안을 찾는 데 주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대상은 2010년 이래 지원된 86 개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이다.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성과지표는 연구역량이나 배출인원, 산 학연계 정도, 고용창출 등과 관련되어 있는데 KPI index로 지칭되는 11개 항목의 인력양성 성과지표를 많이 활용해 분석하였다. 과제별로 제시된 목표치의 달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평 균적으로 달성도가 가장 높은 지수는 기업연계율이며, 달성도가 가장 낮은 지수는 참여기업 취업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연계활동의 핵심 고용창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턴십의 횟수가 많을수록 에너지 분야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강의의 수가 많 을수록 참여기업 취업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업운영 과정에 대한 지표인 기업연계 활동 자체보다 이를 통 해 나타나는 취업 등 핵심 성과에 더 초점을 맞춘 성과지표 재설계와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사업의 질적 성과를 표현할 수 있는 지표와 실제적인 기업연계를 표현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적 성과목표 및 주요 목표 집단 등에 따라 차별화된 성과관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성과지표의 정비와 더불어 정보입력 및 축적 시 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and to find out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cusing on energy HRD projects. The main analysis target is 86 energy manpower projects supported since 2010.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energy HRD projects are related to the research capacity, the number of emission workers, industry-university linkage, job creation and so on, and analyzed by using the 11 indicators of human resource performance index called KPI index.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ttainment level of the proposed target by task, the index with the highest achievement level is the corporation linkage rate, and the index with the lowest achievement level is the participating company employ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creation in company - linked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business, the greater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the number of internships.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a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ding indicators that can express the quality performance of the business and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express actual business linkag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differentiated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policy performance targets and major target group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input and accumulation system along with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dex.

목차
Ⅰ. 서론
 Ⅱ.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1.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현황
  2. 선행연구검토
 Ⅲ.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성과분석
  1. 성과지표 및 자료
  2. 기업연계활동의 효과분석 모형
  3. 분석 결과
   3.1 기업연계의 교육성과: 가설 1
   3.2 기업연계의 고용창출 영향: 가설 2
 Ⅳ. 결론: 분석결과 및 시사점
  1. 주요 분석결과 요약
  2. 주요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홍성민(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Seong-Min Hong
  • 손경현(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 Kyoung-Hyun Son
  • 장선미(원광대학교 국제통상학부 교수) | Sun-Mi Ch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