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한산성 여장의 사춤으로 사용된 조선시대 석회 모르타르의 광물학적 특성 연구 KCI 등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 Mortars Used in Pointing of Namhansanseong Yeojang in Joseo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27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는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춤으로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에 사 용된 석회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여장의 모르타르는 기질에 석영, 장석, 운모, 휘석과 불투명 광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XRD 분석을 통해 점토 광물인 녹니석, 카올 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시료의 입도 분포가 넓고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입도의 60%가 모래영역에 해당되었다. XRF 분석 결과 석회의 주성분인 Ca은 8.71-11.18%로 나타났으며 토 양에서 확인되는 SiO2, Al2O3, Fe2O3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TG-DTA 분석 결과 약 750℃ 부근에 서 탄산칼슘의 탈탄산반응으로 인한 흡열피크와 약 10%의 중량감소율을 확인하였으며, SEM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결과 조밀하게 응집된 비정질, 능면상의 방해석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장의 사춤재는 석회와 토양이 혼합된 모르타르이며 여장의 위치나 사용부위에 따른 광물 조성 차이는 보 이지 않으므로 당시 한봉성 여장은 동일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개축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 mortars used in pointing of Namhansanseon Yeojang from Joseon dynasty. Polarization microscopy revealed quartz, feldspar, mica, pyroxene and opaque minerals in the lime mortars. XRD analysis also confirmed clay minerals chlorite and kaolin. As a result of particle size analysis of lime mortar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wide and size was not uniform. 60% of samples were corresponded to the sand area. The chemical components detected from XRF analysis, 8.71-11.18 % of Ca as the main component of lime and SiO2, Al2O3, and Fe2O3 in soil minerals were main components. The lime mortars showed an endothermic peak due to decarbonization reaction of CaCO3 at 750℃ and weight reduction rate of 10%. The microstructures were agglomerated amorphous and observed rhombohedral calcite crysta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t is considered that the pointing of Yeojang is a mortar mixed with lime and soil. In addition the Hanbongseong Yeojang was constructed using the same materials and construction technique because the minerals composition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Yeojang location and us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대상
  시료선정
  분석방법
 결과 및 토의
  구성광물
  입도 분포
  화학 조성
  열분석
  미세조직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은경(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Eunkyung Kim
  • 안선아(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Sunah Ahn
  • 문성우(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Seongwoo Mun
  • 강소영(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Soyeong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