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 ‘Red Elf’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4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진한 적색의 ‘Max Red’와 분홍색의 주름이 많은 상향성의 포엽을 가진 ‘Pink Elf’를 2010년에 교배하여 획 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생육특성, 개화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2014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선발하였으며, 직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Red Elf’로 명 명하였다. ‘Red Elf’품종은 적색의 상향성인 포엽과 열편이 거 의 없는 착색엽이 우수한 화형을 형성한다. 초장이 작고 엽병 이 짧은 잎몸을 가진 줄기의 발생이 많아서 균형 잡힌 수형을 이룬다. 단일 처리 후 약 8주가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 하가 가능하다. 이 품종은 2016년 3월 17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5953호)되었다.
        3,000원
        4.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gaze effects on spatial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during a pointing task. Subjects were asked to watch and point to an aimed target (2 mm in diameter) displayed on a vertically mounted board. Four gaze conditions were developed as combinations of "seeing-aiming" in terms of the eye movements: Focal-Focal (F-F), Focal-Fixing (F-X), Fixing-Focal (X-F), and Fixing-Fixing (X-X). Both the home target and an aimed target were presented for 1 second and then were disappeared in F-F and X-F. In X-F and X-X, only an aimed target disappeared after 1 second. Subjects were asked to point (with index finger tip) to an aimed target accurately as soon as the aimed target was remov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aze was found (p<.01) for normalized movement time. Peripheral retina targets had significantly larger absolute error compared to central retina targets on the x (medio-lateral) and z (superior-inferior) axes (p<.01). A significant undershooting to peripheral retina targets on the x axis was found (p<.01). F-F and X-F had larger peak velocities compared to F-X and X-X (p<.01). F-F and X-F were characterized by more time spent in the deceleration phase compared to F-X and X-X (p<.01).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central vision utilizes a form of on-line visual processing to reach to an object, and thus increases spatial accuracy. However, peripheral vision utilizes a relatively off-line visual processing with a dependency on proprioceptive information.
        4,000원
        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춤으로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에 사 용된 석회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여장의 모르타르는 기질에 석영, 장석, 운모, 휘석과 불투명 광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XRD 분석을 통해 점토 광물인 녹니석, 카올 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시료의 입도 분포가 넓고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입도의 60%가 모래영역에 해당되었다. XRF 분석 결과 석회의 주성분인 Ca은 8.71-11.18%로 나타났으며 토 양에서 확인되는 SiO2, Al2O3, Fe2O3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TG-DTA 분석 결과 약 750℃ 부근에 서 탄산칼슘의 탈탄산반응으로 인한 흡열피크와 약 10%의 중량감소율을 확인하였으며, SEM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결과 조밀하게 응집된 비정질, 능면상의 방해석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장의 사춤재는 석회와 토양이 혼합된 모르타르이며 여장의 위치나 사용부위에 따른 광물 조성 차이는 보 이지 않으므로 당시 한봉성 여장은 동일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개축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