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슬관절 후방십자인대(PCL)의 관찰을 위한 사방향 관상면과 이중 사방향 시상면 자기공명영상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MRI on Oblique Coronal and Dual Oblique Sagittal for the Observa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Knee J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2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인대로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사방향 관상면 영상과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을 획득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고 SIEMENS사의 Skyra 3.0T에서 knee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방법은 T2 COR, PD SAG을 획득하고 원위부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한 PD OBL COR과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한 PD Dual OBL SAG을 획득하였다. PCL의 관상면 비교를 위하여 밑단점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시상면 평가를 위하여 기시점, 중간지점, 밑단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결과를 Mann-Whitney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정성적 방법은 기존의 관상면, 시상면 영상과 사방향 관상면,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에서 후방십자인대를 비교하여 미흡, 대등, 우월 세 단계로 평가하였다.
결 과 : 검사를 진행한 결과 기존 관상면 영상보다 사방향 관상면 영상에서 원위부 후방십자인대의 길이는4 7.9%, 폭 14.9% 증가하였고, 기존 시상면 영상보다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에서 기시점 19.8%, 중간지점 18.3%, 끝단점 33%의 증가된 것 으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사방향 관상면 영상과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 모두 기존 영상보다 우월한 영상 검사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슬 관절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관찰에는 기존 검사 방법에 사방향 관상면 영상 검사와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 검사를 병 행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s an important ligament in the knee joint stable, the PCL plays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human.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observing the PCL by the oblique COR and the dual oblique SAG in consider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Materials and Method : The twenty patients(Dec of 2016 to Jan of 2017). Skyra 3.0T(SIEMENS) and knee coil were used. The chosen method was T2 COR and PD SAG, the PD OBL COR, and the PD Dual OBL SAG. It measured the length and width of E.P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COR in each image and measured S.P, M.P, and E.P to evaluate the SAG. To check the statical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s, they were examined by Mann-Whitney. As for the qualitative examination, three radiologists compared the PCL in the existing images of the COR and SAG, the oblique COR and dual oblique SAG judged each image.
Results : It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PCL found that the distal PCL in the existing frontal plane image is 47.9% longer and 14.9% wider than that of the oblique COR and that S.P, M.P, and E.P are higher by 19.8%, 18.3%, and 33% respectively in the dual oblique SAG than in the existing SAG.
Conclusion : The result indicates that oblique COR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istal ligament is useful in acquiring an image of distal PCL. The dual oblique SAG, conducted to describe the overall image of the PCL, proved its excellence by showing. We can see from this fact that, for the PCL of the knee joint, it would be useful to use oblique COR and dual oblique SA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maging method.

목차
I. 서 론
 II.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검사 장비
  2. 결과 분석 방법
 III. 결 과
  1. 정량적 평가
  2. 정성적 평가
 IV. 고 찰
 References
저자
  • 최효연(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Choi Hyo Yeon
  • 황인수(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Hwang In Su
  • 장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Jang Il
  • 오진숙(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O Jin Sook
  • 박용훈(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Park Yong Hoon Corresponding Author
  • 이용대(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Lee Yong D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