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0T MRI에서 효과적인 지방억제 기법에 대한 연구 KCI 등재

The research about the fat saturation method which is effective in 3.0 Tesla M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고자장 3.0T MRI가 보편화되면서 임상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척추 질환의 병리적 감별에 있어 지방 신호를 제거하는 지방억제기법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phantom 영상을 획득하고 element의 signal intensity와 homogeneity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임상영상을 평가하고 각 지방억제기법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지방억제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자체 제작한 phantom을 CHESS, SPAIR, STIR, Dixon sequence로 검사하여 각각 5개의 coronal 영상을 획득 한다. 5개의 영상 중 3번째 영상에서 1~25번까지 설정된 ROI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평균과 변동계수를 산출한다. 임상영상에서는 Brain, C-spine, L-spine을 분석하여 유용한 기법을 평가 한다.
결 과 : Phantom영상의 Signal Intensity는 CHESS>Dixon>STIR>SPAIR로 SPAIR의 영상이 지방소거가 가장 양호하게 분석되었고, CHESS는 영상의 중심부로 부터 멀어질수록 지방제거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영상의 변동계수는 CHESS>SPAIR>STIR>Dixon 으로 전체 영상의 homogeneity는 Dixon이 가장 양호하였다. Brain 임상영상의 지방억제는 STIR가, homogeneity는 Dixon이 양호하였다. C-spine은 STIR와 Dixon이 지방억제, homogeneity 모두 양호하였다. L-spine은 SPAIR와 CHESS의 지방억제가 양호하였고, homogeneity는 Dixon, STIR가 양호하였다.
결 론 : Phantom 영상의 지방제거는 SPAIR, STIR가 가장 우수하였고, 영상의 homogeneity는
Dixon이 가장 양호한 영상으로 평가 되었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검사에서는 Brain 임상영상의 지방억제는 STIR가, homogeneity는 Dixon이 양호하였다. C-spine은 STIR와 Dixon이 지방억제, homogeneity 모두 양호하였다. L-spine의 지방억제는 SPAIR와 CHESS가, homogeneity는 Dixon, STIR가 양호하였다.

Purpose : The sign of the water and fat affects the influence that it is abundant in the MRI examination among the component of the human body. Obtaining the phantom image make by ourselves and trying to analyze the signal intensity and homogeneity that present the way for the optimum fat satu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It measur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ROI set up and calculate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the maximum, the minimum, the range of the clinical image and phantom image with the CHESS, SPAIR, STIR, Dixon sequence.
Results : SPAIR was analyzed to be the finest in fat saturation, CHESS>Dixon>STIR>SPAIR, in the Signal Intensity of the Phantom image. CHESS was remarkable reduced the more became far of the central part of image in the fat removal. Dixon was to be the fines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HESS>SPAIR>STIR>Dixon, in homogeneity of the whole image. STIR was fine in the fat saturation and Dixon was the fine in the homogeneity in brain image. Both STIR and Dixon were fine in the fat saturation and homogeneity for C-spine. Both SPAIR and CHESS were fine in the fat saturation and both Dixon and STIR were in homogeneity for L-spine.
Conclusion : Both SPAIR and STIR were the most excellent of the fat saturation in the phantom image and Dixon was analyzed to be the finest of the homogeneity in the image. STIR was fine of the fat saturation for brain, Dixon was fine of the homogeneity in the clinical examination aimed at patients. Both STIR and Dixon were fine of the fat saturation and homogeneity for C-spine, SPAIR and CHESS were for L-spine, Dixon and STIR were for homogeneity.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장비 및 영상의 획득
  3. 영상 분석
 Ⅲ. 결 과
  1. 팬텀 영상
 Ⅳ. 결론 및 고찰
 Ⅴ. 참고문헌
저자
  • 신문수(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MS, SHIN
  • 김종만(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JM, GIM
  • 권대혁(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DH, KWON
  • 강영애(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YA, KANG
  • 김도완(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DW, GIM
  • 최재훈(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JH, CHOI
  • 양인모(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 IM, Y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