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RI BRAIN 검사에서 Conventional image와 비교를 통한 MAGIC(Magnetic Resonance Image Compilation)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KCI 등재

Usefulness study of MAGIC(Magnetic Resonance Image Compilation)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image in MRI brain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10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한 번의 영상 획득으로 다양한 contrast를 구현할 수 있는 MAGIC을 이용하여 brain 영상을 획득 한 뒤, 고식적인 방법으로 얻은 영상과 비교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5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두부 신경계통의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brain routine order에 한해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60세이며, 남자 3명 여자 7명으로 구성되었다. 검사 장비는 GE의 Discovery 750w 3.0T를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coil은 32 channel head coil을 이용하였다. 기존 brain routine 시퀀스와 비교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MAGIC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기존 시퀀스인 T2 weighted image, FLAIR image, T1 weighted image의 axial plan과 동일한 plan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은 영상 재구성을 통해 비교대상인 기존영상들의 근접한 TR값과 TE값, TI값으로 재구성하였으며, 평가는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로 이루어졌다. 정량적 평가는 영상의 한 단면을 anterior, middle, poterior로 나누고, 각 구역에서 오른쪽, 왼쪽의 백질과 회백질의 pixel contrast의 비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신경계 판독의 2명과 MRI실 근무 5년 이상의 방사선사 5명을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평가는 SPSS 21.0(SPSS Inc, Chicago,IL, USA)을 사용하여 p<0.05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 과 : 정량적평가의 T1영상에서는 anterior, middle segment에서 각각 p>0.05(p=0.721,P=0.386)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osterior portion에서 p<0.05(p=0.02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 영상에서는 anterior, middle, posterior portion 각각 p>0.05(p=0.169,P=0.575,p=0.95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LAIR 영상에서는 anterior portion은 p>0.05(p=0.2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iddle, posterior portion에서 각각 p<0.05(p=0.047,p=0.00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고식적 image와 MAGIC image 모두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MAGIC을 이용하여 얻은 영상은 고식적인 영상과 비교했을 때 진단적 가치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 번의 스캔으로 T1WI, T2WI, FLAIR, PD, T1 MAP, T2 MAP, STIR 등의 영상으로 재구성 하는 MAGIC은 검사 시간 단축에 있어서도 많은 기여를 하며, 검사 후에도 다양한 contrast를 후처리 기법을 통해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 MAGIC is can be obtained a variety of images at a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sefulness of MAGIC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image in brain MRI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y 2015 until June 2015, targeting the nervous system of the head 10 patients were studied only in brain routine order. the average age is 60 years old, it consisted of 3 people men and 7 people women. equipment were examined using the Discovery 750w 3.0T of GE, coil used a 32 channel head coil. It was used to try to add a MAGIC compared to conventional. MAGIC was performed in the same plan those are T1 weighted, T2 weighted, FLAIR image. Acquired images were reconstructed as close TR value of existing images being compared with the value of Reconstruction and TE, TI value. Evaluation consisted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Quantitative evaluation is to share a section of image to the anterior, middle, posterior, from each zone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ratio of the pixel contrast of the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of the left and right. a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wo radiologists and five radiologic technologists visually evaluate images at Likert 5 point scale. Statistical method was paired using SPSS 21.0 (SPSS Inc, Chicago,IL, USA) software. Statistical method was nonparametric Wilcoxon rank test(p<0.05).
Results : The T1 imag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p> 0.05 (p = 0.721, P = 0.386) in the anterior, middle seg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p = 0.022) in the posterior portion. In the T2 imag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erior, middle, posterior portion respectively, p> 0.05 (p = 0.169, P = 0.575, p = 0.959). FLAIR images in the anterior portion p> 0.05 (p = 0.28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p <0.05 (p = 0.047, p = 0.007) in the middle, posterior portion. The qualitative assessment both conventional and image MAGIC image p> 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MAGIC is the diagnostic value is valid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MAGIC reconstructing images at once, such as T1WI, T2WI, FLAIR, PD, T1 MAP, T2 MAP, STIR, and many contributions are also in the shortening study time. Since the post-processing techniques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various contrast even after the inspection is considered that a sufficient value in the clinical.

목차
I. 서 론
 II.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방법
  2. 측정 방법
 III. 결 과
  1. 정량적 평가
  2. 정성적 평가
 IV. 고 찰
  1. 임상적용
  2. 고 찰
 Ⅴ. References
저자
  • 오성민(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Seong Min Oh
  • 권도훈(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Do Hun Kwon
  • 정우진(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Woo Jin Jeong
  • 김건영(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Keon Young Kim
  • 방용식(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Yong Sik Bang
  • 김동성(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Dong Se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