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뉴로 스포츠 마케팅을 위한 동공 확장과 주시빈도 간의 관계: 시그마 분석법을 적용하여 KCI 등재

Relationship of Pupil's Size and Gaze Frequency for Neuro Sports Marketing: Focusing on Sigma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0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이 연구는 농구 경기장내 마케팅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마케팅의 여러 연구 기법들 중 시선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동공이 확장 되었을 때의 시선 관찰 및 관심도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동공이 확장된 구간을 산출하기 위해 유효테이터를 중심으로 동공의 크기가 2시그마 범위 상위 2.275%일 때의 구간별 데이터를 정리하고 이전 연구에서 산출된 3시그마의 상위 0.135%일 때의 구간별 데이터와 전체 유효 데이터를 주시 빈도에 따른 변곡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유효 데이터와 동공의 크기가 유의미하게 커졌다고 판단되는 범위들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시선이 많이 머무른 구간과 동공이 크기가 유의미하게 커진 부분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전체 유효 데이터와 동공크기 2시그마 상위 데이터의 상관분석은 .805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동공크기 2시그마 상위 데이터와 동공크기 3시그마 상위 데이터의 상관분석은 .781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체 유효데이터와 동공크기 3시그마 상위 데이터 상관분석은 .683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동공의 크기가 확장 되어진 구간과 시선추적 데이터에서 시선이 많이 머무른 구간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으나, 동공의 크기가 유의미하게 확장되었다고 판단되어지는 구간의 데이터 일수록 전체 데이터와의 상관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in the basketball stadium,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gaze frequency and interest when the pupil was expanded by using the eye-tracking technology among various neuro marketing techniques of marketing. To analyze the section where the pupil size get expanded, interval of pupil size was higher than 2.275% (2 sigma data) and higher than 0.135% high (3 sigma data). Overall the valid data was analyzed by inflection points according to gaze frequency. We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valid data and the ranges where the pupil siz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valid data and pupil size 2 sigma data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0.805. The pupil size 2 sigma data and pupil size 3 sigma data showed a correlation with 0.781, overall the valid data and pupil size 2 sigma data showed a correlation with 0.683.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section where the pupil size was expanded and the section at which gaze frequency is higher in the eye-tracking data were similar.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data of pupil size i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ly expanded and overall the valid data is decreas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측정 도구 및 방법
  2.3. 자료처리 방법
 3. 분석과정
 4. 결과
 5. 논의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고의석(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Eui-Suk Ko
  • 송기현(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Ki-Hyeon Song
  • 조수현(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Soo-Hyun Cho
  • 김종하(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 Jong-Ha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