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인을 위한 식품 평균소비량(1990년대) 자료의 최적화 KCI 등재

Optimization of Average Food Consumption Data for Koreans in 1990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9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국내에서는 식품수급표와 국민영양조사가 지난 수십년에 걸쳐 두개의 중앙부처에서 각각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와 두가지 통계자료간의 격차가 수용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지난 30년간 공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식습관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사방법의 개선이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 이용가능한 국민영양조사에 의한 식품소비량 데이타를 식품수급표를 감안하면서 최적화하였다. 최근 1991-95년 기간중 개별 식품항목의 조정 소비량이 곡류, 감자류, 당류제품, 두류, 견과종실류, 과일류, 채소류, 육류, 난류, 우유제품, 유지류 및 수산물에 대하여 제안되었다. 소맥제품, 두류제품, 김치류 및 우유제품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에서는 그들의 원료성분으로 계산하기 위한 잠정적인 환산계수를 제안하였다. 식품들의 공급량 데이타와 섭취량 데이타 간의 큰 편차는 국민영양조사에서 계절적 차이와 아울러 가공식품 및 외식에 의한 섭취량이 무시되었기때문으로 지적되었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조정된 식품소비량 데이타는 앞으로 새로운 절차에 의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가 나와 검증될 때까지 평균소비량을 위한 국가대표치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Korea, food balance sheet and national nutrition survey have been conducted in parallel by Central Government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 gap between the two statistics became larger to reach an intolerable level in recent years, likely due to the limitation of dietary survey method in spite of the drastic change in dietary habits after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uring last three decades. The currently available data from national nutrition survey was optimized by taking in to account of the food balance sheet. Adjusted consumption data for individual food items during the period of 1991-95 were given in tabular forms for groups of cereals potatoes sugars & sweets, legumes, nuts & seeds, fruits, vegetables, meats, eggs, dairy products oils & fats and fishery foods. Conversion factors of processed foods including wheat products, soybean products, Kimchi and dairy products into their raw materials were tentatively proposed. Great differences between supply data and intake data of food commodities were pointed out to be likely due to the seasonal variation and ignorance of processed foods and dining-out in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It is recommended to utilize these optimized food intake data as the nationally-representative one until ne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undertaken after modified procedures since 1998 are obtained and verified in future.

저자
  • 이서래 | Lee, Su-Rae
  • 이효민 | Lee, Hyo-Min
  • 허근 | Huh, Keun
  • 이미경 | Lee, Mi-G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