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니류의 매립억제를 위한 에너지회수대상 확대가능성 평가

A survey on energy recovery for reduction of sludge landf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0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초록

최근 정부는 매립지로 최종 처분되는 미처리폐기물의 매립제로화를 핵심국정과제로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또한 ‘자원순환기본법’ 제정 및 ‘폐기물관리법’ 개정으로 자원의 재활용 방향성을 확대하였고, 제4차 ‘국가환경 종합계획’에서 2035년까지 폐기물 매립처분 비율을 1%까지 감소시키고자 목표를 설정하였다. 국내 전체폐기물 매립처리량은 37,907 톤/일로 발생량 대비 9.4% 매립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중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의 매립처리량은 24,606 톤/일로 매립폐기물 중 약 6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이중 유・무기성 오니류의 비중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유・무기성오니를 배출사업장 업종별 오니류로 구분하여 성상분석에 따른 오니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매립억제와 관련한 경제적 유인책, 반입규제, 재활용활성화 방안 등의 조건 설정에 따른 감소량 산정, 경제적 유인책에 따른 매립억제 효과와 직접적인 반입기준 적용등에 따른 매립억제 가능량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국내 현황으로 토지개량제 등 생물학적 용도로서의 오니류 사용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수분 전처리를 통한 감량화 및 에너지회수를 위한 소각 등 열적처리 방안이 오니류의 매립비율 감소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오니류 매립저감 가능량의 산정 결과, 간접적인 폐기물처분부담금 등 경제적 매립억제 강화에 따른 건조・에너지회수 등 적극적 재활용을 통해 ‘15년 오니 매립량 중 약 40%의 매립처분량을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저자
  • 김규연(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Kyuyeon Kim
  • 문희성(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Heesung Moon
  • 이수영(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Suyoung Lee
  • 배지수(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Jisu Bae
  • 전태완(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Taewan Jeon
  • 신선경(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Sunkyoung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