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4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과 소년원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각 시설별로 주 1회, 총 30회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 평가되어졌다. 양적 측정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의 준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ANCOVA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수용자들은 스트레스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어들었으며, 사회성과 문화예술 선호성 그리고 자기조절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수용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주는 기다림, 자신의 발견, 자신감, 함께하며 편안함을 주는 교육이라고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교정시설 내 인지적, 사회적, 예술적 역할로서의 유용성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was total 30 session, it was practiced once a week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and each session lasted for 2 hours.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were evalua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arts. In case of quantitative measurement, we designed the guasi-experimental design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the point of pre-test and post-test of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rough Ancova treat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as covariate. In detail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when it comes to "str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lower stress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herea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sociality, the preference to culture/art and the self-regulation. Also the result of depth interview of prisoners, we could structur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s as the one giving the pleasure with waiting, the one giving the chance to find oneself, the one inspiring one's self esteem, the one with the others, the one allowing to feel comfortable.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had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social, and artistic fun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현황
  2.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 연구설계
  3. 측정도구
  4. 분석
 Ⅳ. 연구결과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차이 분석
  4. 심층인터뷰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임영식(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Youngsik Lim
  • 정경은(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youngeun Chung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