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의 미래와 여성교도관의 역할 - 교정조직의 성고정관념 수준과 여성교도관의 역할확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future of corrections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 Correctional organization's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s against female officers’performa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9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남성중심의 교정조직에서 남녀교정직원들의 여성 교정직원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인식을 연구분석하였다. 특히, 남성교정직원들의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해서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적인 역할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이 여성교정직원들 자신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대한민국 미래교정에서 여성교도관의 역할영역의 확대가 어디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전망과 분석을 위해서 남녀 교도관들의 여성교도관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와 의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분석하고, 남녀교정직원들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12개의 교도소에서 총 448명의 남녀교정직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교정직원들에게서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부분적 성고정관념적 인식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여성교정공무원들에게서도 발견이 되었다. 그리고 남녀교도관 모두는 여성교정직원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 남녀교정직원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 공헌점, 그리고 제한점 등이 결과와 논의 부분에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vailed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s against female correlational officers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Women’s ability to perform as a professional correctional officers has been continuously questioned since the entrance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to the correction busines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male oriented organization. Yet, recent studies revealed the competence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 in pris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e overall concretional officers’ competence would not be differ, but the perceptions towar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performance would be differ. That is so called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 against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Based on these hypothesis, this study examined male and female concretional officers’ perceptions of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performance and the potential of being introduced to male inmates prison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is current study revea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stereotyped percep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regarding female officers’ involvement in male inmates prison facilities management and security duties. The result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result and discussion of this pap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여성공무원의 전반적 직무능력 및 역량
  2. 여성교정직원의 수용자들의 폭력에 대한 대응능력
  3. 성고정관념적 교정조직문화와 교도관의 인식
  4. 여성교도관에 대한 국내연구의 필요성
 Ⅲ. 연구방법
  1. 표본 및 데이터수집
  2. 변수
  3. 분석방법
 V. 분석결과
  1. 연구에 참여한 남녀교정직원에 대한 기술적 분석결과 및 t 검정결과
  2. 남녀교정직원들의 여성교정직원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에 대한 t 검정 분석결과
  3. 주요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4. 여성교도관들의 남자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의견 및 태도의 회귀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은영(가톨릭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Kim, Eun Young
  • 윤옥경(경기대학교 교정보호학과) | Yoon, Ok Kyung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