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형자 직업훈련에서 학습전이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Learning Transfer Factors in Vocational Training for Prison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9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법무부에서 시행하는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하는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며, 각각의 요인이 이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전이 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실제 교정시설에 직업훈련교육을 받고 있는 수형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5점 척도의 중간 값인 3을 넘어서 수형자 직업훈련의 성과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변인에서 측정된 결과 값이 중간 값 이상으로서 수형자 직업훈련의 타당성과 책무성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직적 지원과 교육만족도가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고, 본인들의 학습동기나 만족도와 같은 내생변인을 통하여 효과를 발생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즉, 수형자들이 출소 후 배운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지원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이설계가 실제 현업과 유사한 학습 환경을 구성하여 훈련에서 습득한 내용 등을 활용하게 하고 전이를 촉진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이설계가 높을 때 학습전이가 잘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ensuing factors behind inmate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courses carried out in the legal department highlight the impact on the learning transition. I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posable elements and the direct effect of each of the factors. Also, the actual correctional facilities result of the inmates who are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that were carried out for selec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orms the results of training the inmates more than 3 times which is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5-point scale. Furthermore, you can see the value of the results in all of the measurements and without the valid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inmates for vocational training means it can be no more than an intermediate value. Secondly, satisfaction levels for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became apparent in important variables, and it also became clear that it was necessary to generate the effect through endogenous variable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and person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mates’ ability to apply the field contents learned after release has been found to assist the program greatly. Finally, regarding transition desig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am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actual site so as to take advantage of the content and who have learned throughout training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arning transition is greater when the high transition design is appropriately displayed.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수형자 직업능력개발훈련
  2. 학습전이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델
  2. 연구 가설
  3. 연구 대상
  4. 조사 도구
  5. 자료분석 및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1. 자료분석 및 방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윤현석(서울남부교도소,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Yun, Hyeon-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