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알릴 구조의 새로운 액정 단량체의 합성과 특성 연구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s of New Liquid Crystalline Monomer Based on Diallyl Moie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0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광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고리화 중합이 가능한 디알릴 기를 포함하는 액정 단량체를 합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액정의 상전이 특성 및 배향특성과 중합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액정단량체는 2-methyl-1,4-phenylene 기를 중 심구조로 하며 양 말단에 고리화 중합이 가능한 1,6-heptadienyl 기를 포함한다. 합성된 액정단량체를 1H-NMR로 구 조 분석을 하였으며 DSC와 POM을 이용하여 액정단량체의 상전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합성된 합성된 액정단량체는 가열시에는 액정상이 관찰되지 않고 약 52 oC에서 등방성 액체로 녹았으며, 냉각시에는 49.1 oC에서 –9.5 oC 사이에서 전형적이 네마틱 상을 보이고 그 이하에서는 결정성을 나타내는 enatiotropic 상전이를 나타내었다. 합성된 액정 단량체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으로 제조하여 코팅 후 광조사를 통해 고리화 중합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고분자필름을 제조하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중합과정 중 배향이 파괴되어 광학필름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We synthesized new liquid crystalline monomers (LCM) having diallyl moiety at both ends of molecule which can be polymerized via cyclopolymerization, and investigated their liquid crystalline phase transitions, aligning property and polymerization behavior. The new LCM is based on the core structure of 2-methyl-1,4-phenylene group and two polymerizable 1,6-heptadienyl moieties at both ends. The structure of LCM was characterized by 1H-NMR, and their phase transition was investigated by DSC and POM. As a result, LCM showed enatiotropic behavior with that no LC phase during the heating cycle was observed, while on the cooling cycle, typical nematic phase was observed at between 49.1 and –9.5 oC. LCM was formulated with photoinitiator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which was spin coated on a rubbed PI-covered glass substrates and photopolymerized by UV irradiation. We obtained a polymer film in which alignment was destroyed completely, which needs further study to be used in optical film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시약 및 장비
  2.2 액정단량체(LCM)의 합성
  2.3 액정단량체(LCM)의 광중합
 3. 결과 및 고찰
  3.1 액정단량체(LCM)의 합성
  3.2 액정단량체(LCM)의 열적 특성
  3.3 고리화 중합을 통한 고분자 필름 제조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이성준(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Sung Jun Lee
  • 강헌석(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Hun Suk Kang
  • 양시영(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Si Young Yang
  • 이명훈(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Myong-Ho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