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약물 유발 급성 췌장염 KCI 등재 SCOPUS

Drug Induced Acute Pancreatit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은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른 원인의 췌장염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소견이 없고, 실제 약제와 췌장염의 상관 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상세한 병력 조사와 더불어 항상 약제 유발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의 첫 걸음이다.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은 기존 문헌 보고에서의 약제 투약 후 췌장염 발생까지의 잠복기와 재투약으로 인한 췌 장염 재발을 기준으로 class I-IV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class I과 class II 약물의 경우 췌장염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이들 약제를 중심으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임상의는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의 가능성을 주지하여야 하고, 특히 원인이 불명확한 급성 췌장염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다른 췌장염 원인을 배제하면서 투약 병력을 확인하고 약물 유발성 췌장염을 감별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Drug induced acute pancreatitis (AP) is considered a relative rare disease. It has no distinguishing clinical features and physician may ignore the possibility of that due to lack of clinical recognition. Although estimates of the relative frequency with which drugs causes AP vary widely, there is a difficulty in prov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ug and pancreatitis. Therefore, a careful history taking and high index of suspicion is required for making a correct diagnosis. Drug induced AP is classified (class I-IV)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demonstrating the latent period and rechallenge reaction. Generally, class I and II drugs have the greatest potential for causing AP. In conclusion, physician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drug induced AP in patients with unexplained AP and treat appropriately by discontinuation of the offending drugs. Besides, well designed epidemiological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define the frequency and specific risk of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any individual drug in Korea.

목차
서 론
 본 론
  1. 약물 유발 급성 췌장염 분류
  2. 임상적 특징
  3. 대표 유발 약제
  4. 기타 약제
 결 론
 요 약
 REFERENCES
저자
  • 김연석(가천대 길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Incheon, Korea) | Yeon Suk Kim
  • 조재희(가천대 길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Incheon, Korea) | Jae Hee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