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즉석섭취 알 가공품의 미생물학적 품질 및 주요 식중독 균의 증식·생존 분석 KCI 등재

Microbiological Quality and Growth and Survival of Foodborne Pathogens in Ready-To-Eat Egg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계란가공전문업체에서 생산하는 즉석섭취 알가공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분석한 연구로 제품의 종류에 따라 일반세균 및 coliforms의 오염수준의 차이가 매우 크며 식중독균의 증식/생존 양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섭취 알 가공품 중 계란구이의 가공 공정단계에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정 초기단계에서 aerobic plate counts 오염 수준은 높았으나 가열 성형 공정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공정 과정 이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HACCP 공정에서의 CCP 관리는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제품의 경우 치즈, 참치, 피자오믈렛과 계란구이, 계란 찜은 미생물 규격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떡갈비오믈렛과 지단채는 허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지단채의 경우 레토르트 공정을 거치지 않는 제조 공정에 따른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오믈렛의 경우 계란 이외의 내용물이 추가 주입되므로 부 재료의 관리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성 식중독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즉석섭취 알 가공품을 4, 10, 15℃에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증식 및 생존을 관찰한 결과, L. monocytogenes는 저장 기간 내 모든 온도에서 증식하였다. 특히 계란구이에서 S. Typhimurium과 E. coli는 4℃와 10℃ 저장조건에서 사멸하였으나, 15℃ 저장조건에서는 동일한 저장기간 동안에 급격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통/판매 조건에서 온도 관리 또한 철저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계란구이에서 S. Typhimurium에 비해 S. Enteritidis의 증식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란 찜에서도 S. Typhimurium는 사멸하는 반면 S. Enteritidis 증식은 잘 이루어 져 알 가공품에서의 S. Enteritidis의 증식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식용란이 생산되는 과 정에서도 S. Enteritidis 오염예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알 가공품의 경우 제조 시설에서의 위생적인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조리 시 적절한 가열, 가열 후 교차오염 방지, 조기섭취 등 유통/보관 후 소비자 섭취시점까지의 안전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Microbial quality of baked egg products was evaluated by counting the levels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and E. coli), L.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at the critical control points (CCPs) of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egg products (cheese, tuna, tteokgalbi, pizza omelets, baked egg, and steamed egg) were investigated at 4, 10, and 15℃. The contamination level of aerobic plate counts decreased from 4.67 log CFU/g at CCP 1 to 0.56 log CFU/g at CCP 3 in baked egg products. No coliforms and E. coli were detected at all CCPs. Although L. innocua and Salmonella spp. were identified at CCP 1, no L.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were detected in the final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aerobic plate counts and coliforms in egg strips and number of aerobic plate counts in Tteokgalbi omelet are higher tha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 of processed egg products. At 10oC, the growth of all pathogens was not prevented in omelet and baked egg, but the populations of S. Typhimurium and E. coli were reduced in steamed egg at 10℃,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ther pathogens.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was faster than that of S. Typhimurium and E. coli in omelet. More rapid growth of S. Enteritidis than S. Typhimurium was observed in egg products, indicating the greater risk of S. Enteritidis than S. Typhimurium in egg products.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즉석섭취 알 가공품의 공정 별 시료 채취
  미생물 오염도 분석
  즉석섭취 알 가공품에서 고 위험 병원성 균의 증식 및 생존
 Results and Discussion
  알 가공품의 공정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
  알 가공품 완제품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정량분석
  알 가공품에서 고위험군 병원성 식중독균의 증식 및 생존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조혜진(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Hye Jin Jo,
  • 최범근(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Geun Choi
  • 유엔(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Wu Yan
  • 문진산(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Jin San Moon
  • 김영조(식품의약품안전처 규제개혁법무담당관) | Young Jo Kim
  • 윤기선(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 Sun Yoon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