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reptozotocin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매생이 추출물의 정소 조직 보호 효과 KCI 등재

Protectiv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and Pheophorbide a on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in Testicul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당뇨 합병증을 일으키는 중요 매체인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매생이 추출물과 그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 (PhA)의 정소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 보호 효과를 streptozotocin(STZ)에 의해 유발된 당뇨 쥐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당뇨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STZ를 40 mg/kg body weight (b.w.)의 농도로 복강 투여하여 당뇨를 일으킨 후, 매생이 추출물(CFE)샘플을 각각 4, 20 mg/kg b.w. 그리고 PhA를0.2 mg/kg b.w.로 9 주간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정소 조직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생성되는 체내 과산화물 지표인 혈액 nitric oxide와 지질 과산화물이 당뇨 유발군에 비해 CFE와 PhA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체내 과산화물 축적을 제어하는 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lutathione-S-transferase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체내 항산화 방어기작에서의 중요한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활성 또한 샘플 투여 시 회복되는 것을 보아 CFE 투여군과 PhA투여군에서 조직 내 항산화 효소 조절과 함께 과산화물 축적 저해 효과를 통하여 당뇨 상태에서 고혈당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가 일으키는 생식 조직 손상으로부터 매생이 추출물과 그 지표물질인 PhA는 보호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CFE) and pheophorbide a (PhA) contained in CFE on oxidative stress regarded as a factor for diabetic complication. Streptozotocin (STZ), known as an oxidative stress inducer, was intraperitoneal injected for causing diabetes. After 7 days, CFE (4 and 20 mg/kg body weight) and PhA (0.2 mg/kg body weight) were treated once a day for 9 weeks. After the sacrifice, testis tissues were collected for the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with CFE and PhA in diabetic animals not only decreased level of lipid peroxidation and serum nitric oxide compared with the diabetes group, but also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were restored remarkably. Furthermore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were significantly recovered. With these results, our study suggest that CFE containing PhA may prevent seminal glands damage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condition.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시험 물질
  시약 및 재료
  시험동물 및 사육환경
  실험군과 투여물질
  혈액 내 nitric oxide (NO) 생성
  지질 과산화물(Thiobarbituric acid reactive, TBAR) 측정
  환원형 글루타티온(GSH), 산화형 글루타티온(GSSG) 함량
  글루타티온 퍼옥시데이즈(GPx) 활성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R) 활성
  글루타티온 S-전이효소(GST) 활성
  조직 내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평가
  조직 내 catalase (CAT) 활성 평가
  통계 처리
 Results and Discussio
  혈액 내 NO 생성
  정소 조직 내 지질 과산화물 측정
  정소 조직 내 글루타티온 보호
  정소 조직 내 GPx, GR 및 GST 활성
  정소 내 SOD, CAT 활성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손원락(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Won-rak Son
  • 남미현(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Mi-Hyun Nam
  • 한아람(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Ah-Ram Han
  • 표민철(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Min-Cheol Pyo
  • 김세욱(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Se-Wook Kim
  • 정혜림(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Hye-Lim Jung
  • 이화(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Hwa Lee
  • 김지연(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Ji-Yeon Kim
  • 이광원(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Kwang-Won Lee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