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중독 사고 발생과 식품 안전 관련 검색어 빈도와의 상관성 분석 연구 KCI 등재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Word Search Frequencies Related to Food Safety Issue and Foodborne Illness Outbrea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람들은 관심 있는 정보를 포털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빅데이터가 비정형적으로 형성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최근 식품분야 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대 규모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검색 통계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연관 검색어 빈도에 따른 식품안전 사고 원인 식품과 식중독 원인 병원 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식중독과 관련된 식품과 식중독 원인 병원체의 포털사이트 키워드 검색 건수와 해당 원인 식품 및 병원체의 뉴스검색 건수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키워드 검색 건수와 실제 식중독 발생 시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식중독 발생 직후 관련 키워드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특별하게 굴과 같은 계절성 식품의 경우 키워드 검색 건수 증가 이후에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식중독 세균이나 식품들을 식중독 사전 예방적 차원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면 식중독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the increasing use of internet and smart device, consumers can search the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find. The information has been accumulated and become into a big data. Analyzing the big data regarding key words associated with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could be a method for predicting foodborne illness outbreaks, especially in school food servic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s between key words associated with foods and food safety issues. Frequencies of the key words for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afety issues were searched using an internet portal site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4. In addition, foodborne outbreak data were collected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r the same period of tim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having maximum key word frequencies of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and the time for foodborne illness outbreak occurred. In addition, the search frequencies for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were generally increased right after foodborne outbreaks occurred. However, in some cases foodborne outbreaks occurred after the search frequencies for certain seasonal foods increased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 food safety management for reducing foodborne illness and in food safety communication.

목차
Materials and Method
  자료 조사 방법
  주요 식품 및 식중독 병원체 선정과 식품 안전관련 뉴스 검색
  주간별 키워드 검색빈도 조사
  식중독 발생 시점과 병원체·원인식품 검색빈도증가 시점과의 상관관계 분석
  데이터 분석 방법
 Results and Discussion
  식품 및 주요 식중독 병원체의 선정 및 식품 안전관련 뉴스 검색빈도 분석
  주간별 검색빈도 조사
  식중독 발생 시점과 원인 병원체와 원인식품 검색빈도 증가 시점 비교
 Conclusion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이희영(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 연구센터,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isk Analysis Research Cent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Heeyoung Lee
  • 조희경(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Depart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Heekoung Jo
  • 김경미(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yungmi Kim
  • 윤혜원(숙명여자대학교 외식경영학과, Department of LCB Hospitality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Hyewon Youn
  • 윤요한(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 연구센터,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isk Analysis Research Cent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Yohan Yoon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