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tchens and Refrigerators of Korea Households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인천 및 서울 지역에 있는 50 곳의 가정 내 주방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 정도에 대해 조사하여 가정 내 주방 위생 관리 실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행주, 냉장고 칸, 도마의 대장균군과 다양한 병원성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방기구의 대장균군을 분석한 결과, 행주는 4.8 ± 1.84 log CFU/100 g, 검출률 94.0% (50건 중 47건)의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고 칸은 4.11 ± 1.65 log CFU/100 cm², 검출률 96% (50건 중48건), 도마는 4.04 ± 1.53 log CFU/100 cm², 검출률 90.0%(50건 중 45건)로 나타났다. 병원성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E. coli는 행주에서 6.0%, 냉장고 칸에서 2.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 칸에서 4.0%의 검출률을 보였다. Salmonellaspp.과 Campylobacter jejuni의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에는 행주,도마, 냉장고 칸에서 각각 42.0%, 24.0%, 28.0%로 모두높은 검출률을 보여 위생관리 소홀의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가정 내 주방용품 및 기구의 미생물학적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행주 및 도마, 냉장고 칸에서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과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 구균의 높은 검출률을 보여 가정 내주방의 위생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 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도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domestic kitchen environm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food safety in 50 domestic house kitchen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Dishcloth, chopping board, and refrigerator swab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coliforms,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jejuni/coli,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coliform counts for dishcloths was 4.8 ± 1.84 log CFU/100 g, chopping boards, and refrigerator drawers were 4.04 ± 1.53, 4.11 ± 1.65 log CFU/100 cm², respectively. Salmonella spp. and Campylobacter jejuni/coli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E. coli were detected in 3 on the dishcloths and 1 of 50 samples in the refrigerator drawer. Listeria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the drawer of the refrigerator in 2 of 50 samples. In the case of Staphylococcus aureus, the detection on dishcloths, chopping boards, and drawers in refrigerators was 21, 12, and 14 of 50 sampl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tests of domestic kitchen utensils can be us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anitary conditions in domestic kitchen environment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Sample collection
  Bacterial isolation
  Coliforms
 Results and Discussion
  Coliforms of kitchen utensils from domestic homes
  Foodborne bacteria
  Correlation between S. aureus and coliforms in dishcloths and refrigerator drawers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Joonbae Hong(Food & Microbiology team, Department of Test & Inspection, Consumer Safety Center, Korea Consumer Agency)
  • Seung-Yong Lim(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