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떡류 영업자의 영업 특성 및 온·오프라인 식품위생교육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Online/Offline Food Hygiene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Rice Cake Producer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식품위생교육을 이수하는 국내 떡류 영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떡류 영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식품위생교육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떡류 영업자 연령대는 50대(40.1%), 학력은 고졸(52.6%), 종사기간은 10년~20년(34.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업 및 영업장 관련 종사인원은 2명(79.5%), 면적은 99.17 m² 이하(92.0%), 점유 형태로 임차 사업장(60.2%), 사업장에 대한월 임차 금액 100만 원 이하(54.8%)를 대부분 지불하고있으며, 영업장 안전사고 발생은 3년간 228건(연평균 2.4%),제조·가공 품목수는 20가지 이하(86.7%)로 분석되었다. 식품위생교육 채널별 인식도에서 영업자는 여성, 연령대가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온라인 교육을 선호하였고, 온라인 교육 선택 이유로 ‘시간적ㆍ경제적ㆍ편리성’(73.7%)가 나타났으며 온라인 이수자는 위생교육이 영업에 더 도움 된다고 인식하였다. 매출액은 온ㆍ오프라인 이수자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위생적 관리에 대해서는 온라인이수자가 오프라인 이수자보다 7.4% 높게 잘 하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이전의 교육기관의 교육 대비 떡류 영업자만을 위한 교육은 온·오프라인 이수자 모두 60.7% 정도 더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survey about the rice cake producers completing the food hygiene education in Korea was investigated b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ake busi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nline and offline awareness of food hygiene education were compared. The average age of rice cake producers is 50 (40.1%),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52.6%), 10-20 years of service (34.3%)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relation to sales and work area, workshop personnel are engaged in two (79.5%), An area of less than 99.17 m² (92.0%), rent (60.2%) with most paying a monthly rental amount of less than 1 million won (54.8%). There were 228 accident cases in three years (an annual average of 2.4%), manufacturing, Processing the item number was less than 20 types of analysis (86.7%). Case of food hygiene education graduates are women,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preferred online. Online education was chosen because of ‘time, economic, convenience’(73.7%). Online graduates have recognized that health education is more conducive to bus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les online and offline graduates. For hygienic management response was that online graduates are well above the 7.4% offline graduates. Online and offline graduates 60.7% appeared to be more satisfied than the previous training institution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설문조사 문항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영업 및 영업자의 일반적인 특성
  식품위생교육 채널별 인식도 비교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이형국(한국떡류식품가공협회 식품위생교육부) | Hyeong Kook Lee
  • 김지연(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Ji Yeon Kim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