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추 재배에 이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및 이화학성분 분석 KCI 등재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2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배추 주산단지 5지역을 대상으로 배추 재배에 활용되는 농업용수를 각 지역의 수확 시기에 채취 하여 위생지표세균(총대장균군, 대장균, 장구균)과 이화학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농업용수의 수질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지하수 보다 지표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지표수의 경 우 총대장균군 1.96-4.96 log MPN/100 mL, 지하수의 경우 0-3.98 log MPN/100 mL 수준이었다. 장구균의 경우 지표 수에서 95%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 되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100%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다. 위생지표세균과 이 화학성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표수의 경우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총인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장구균은 부유물질과 생물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부유물질과 화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채류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Th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for a total of 111 samples including surface water (n = 75) and groundwater (n = 36)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regions where Napa cabbage is massively grown. As a conclusion, the levels of fecal indicators for surface water were higher than those for groundwater. The numbers of coliform from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ere 1.96-4.96 and 0-3.98 log MPN/ 100 mL, respectively. Enterococci were detected in 95% (72/75) of surface water samples and 22% (8/36) of groundwater samples. Besides, 97% (73/75) of surface water samples were observed being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and 22% (8/36) of groundwater sample was positive for E. coli. In the case of surface water, E. coli and coliform correlate to T-P, and enterococci showed relevance to the suspended solid (SS)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In groundwater, fecal indicator bacteria showed relevance to the SS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hese results could be provided as fundamental date for establishing microbial standard of water used in leafy vegetables cultivation.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시료채취
  농업용수 중 위생지표세균 분석
   대장균군/ 대장균 분석
   장구균
   농업용수의 이화학성 분석
   수소이온농도(pH),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와 생물학적 산소요구도(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도(COD: Chemical Oxygen Demand)
   총질소(T-N: Total Nitrogen)
   총인(T-P: Total Phosphorus)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
  농업용수의 위생지표세균수와 이화학지표간의 상관성
  통계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농업용수의 위생지표세균 분석결과
  농업용수의 이화학성 분석결과
  국내 배추 주산단지 농업용수 중 위생지표세균 밀도와 이화학적 성분의 상관관계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윤보현(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Microbial Safety Team, NAS, RDA, Wanju, Korea) | Bohyun Yun
  • 김민경(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DA) | Min Kyung Kim
  • 류진희(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Crop Foundation Division, NICS, RDA, Wanju, Korea) | Jin Hee Ryu
  • 김원일(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Microbial Safety Team, NAS, RDA, Wanju, Korea) | Won-Il Kim
  • 박병용(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S, RDA, Wanju, Korea) | Byeong-Yong Park
  • 김현주(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Microbial Safety Team, NAS, RDA, Wanju, Korea) | Hyun-Ju Kim
  • 이승돈(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Microbial Safety Team, NAS, RDA, Wanju, Korea) | Seung-Don Lee
  • 김세리(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Microbial Safety Team, NAS, RDA, Wanju, Korea) | Se-Ri Kim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