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선편이 엽채류의 병원성 E. coli 검출을 위한 생화학적동정법 비교 분석 KCI 등재

Comparison of Biochemical Identification to Detect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Fresh Vegetab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2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택배지와 건조필름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3종(양상추, 양배추, 어린잎채소)에서 병원성 E. coli를 분리하였고, 의심집락 동정을 위해 생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상추 20 g, 양배추 20 g, 어린잎채소 10 g에 병원성 E. coli 혼합 균액(Enterohemorrhagic E. coli NCCP11142,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4038, Enteroaggregative E. coli NCCP14039,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5661)을 최종농도가 1, 2, 3 log 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고, BPW (80~90 ml)을 넣은 후60초 동안 균질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시료에서 건조필름 시험 양성, 양상추 시료 일부(최종농도 3 log CFU/g 접종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증균배양법을 이용한 정성시험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났다. 증균배양과 건조필름 시험을 통해 분리한 병원성 E. coli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상추에서 분리한 병원성 E. coli의 경우, API 20E 100% (44/44), Microgen GNA 100% (44/44), Food System 66.7% (10/15)의 동정률이 나타났다. 양배추의 경우, API 20E 64.7% (22/34), Microgen GNA 50% (16/32), Food System 60% (9/15), 어린잎채소의 경우, API 20E 65.1% (28/43), Microgen GNA 62.3% (27/43), Food System 53.3% (8/15)가 병원성 E. c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선편이 엽채류에 대한 병원성 E. coli 검출법 선택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rom fresh vegetables with selective media and Petrifilm, and identify a suspicious colony using biochemical identification. Twenty gram of lettuce, twenty gram of cabbage and ten gram of sprout were prepared, and a 5-strain mixture of pathogenic E. coli (Enterohemorrhagic E. coli NCCP11142,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4038, Enteroaggregative E. coli NCCP14039,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5661) was inoculated to obtain 1, 2 and 3 log CFU/g. Eighty to ninety milliliter of buffered peptone water (BPW) was placed and pummeled for 60 s. As a results, the Petrifilm method was all positive, but enrichment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was negative except for 3-log CFU/g inoculated lettuce. Regarding biochemical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E. coli, the identification rates were dependent on type of methods and vegetables; lettuce: API 20E 100% (44/44), Microgen GNA 100% (44/44) and Food System 66.7% (10/15), cabbage: API 20E 64.7% (22/34), Microgen GNA 50% (16/32) and Food System 60% (9/15), sprout: API 20E 65.1% (28/43), Microgen GNA 62.3% (27/43) and Food System 53.3% (8/15).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 determining an appropriate method to detect pathogenic E. coli in fresh vegetables.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시료준비 및 균액 접종
  선택배지·건조필름을 이용한 대장균 분리
  분리된 대장균의 동정
 Results and Discussion
  신선편이 엽채류 3종에 대한 대장균 분리 분석
  병원성 E. coli 동정을 위한 생화학적 분석법 결과비교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최유경(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Yukyung Choi
  • 이희영(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Heeyoung Lee
  • 이수민(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Soomin Lee
  • 김세정(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Sejeong Kim
  • 하지명(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Jimyeng Ha
  • 이지연(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Jeeyeon Lee
  • 오혜민(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Hyemin Oh
  • 윤요한(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위해분석연구센터) | Yohan Yoon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