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척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 선발 KCI 등재

Selection of Poplar Clones for Short Rotation Coppice in a Reclaimed 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3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수도권매립지 내 간척지에서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조성에 적합한 우수수종 및 클론을 선발하기 위하 여 이태리포플러, 미류나무, 현사시나무의 각 3개 클론을 1년, 2년 및 3년 수확구별로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정하였고, 염분 흡수력, 활착율, 조기낙엽, 천공충 및 병·해충에 의한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클론별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1년 수확구에서는 미류나무 97-18클론 이 5.97ton ha-1 year-1의 수확량을 나타내어 우수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2년 및 3년 수확구에서는 미류 나무 97-19클론이 각각 9.33ton ha-1 year-1과 13.73ton ha-1 year-1으로 나타나 우수한 것으로 추정 되었다. 클론별 염분 흡수량은 미류나무 클론(Ay48, 97-18, 97-19)의 체내 Na+ 함량이 타 수종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수종 및 클론간의 평균 활착율뿐만 아니라 조기낙엽, 식엽충 및 천 공충의 피해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바이오매스 생산능력과 활착율 등을 토대로 적응능력 을 추정하였을 때, 미류나무 클론 97-18과 97-19의 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 척지에 적응능력이 우수한 수종은 미류나무, 이태리포플러 및 현사시나무 순으로 나타났고 모든 수종 및 클론에서 3년 수확구가 바이오매스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poplar clones for planting on short rotation coppice poplar plantations in a reclaimed land. The research investigated annual biomass production, salinity absorption with three poplar(Populus spp.) species including P. euramericana, P. deltoides, and P. alba⨯P. glandulosa hybrid. P. deltoides clone 97-17 showed the highest above-ground biomass production in 1st year with 5.97 ton ha-1 year-1but P. deltoides clone 97-18 in 2nd and 3rd year showed the highest dry yield with 9.33 ton ha-1 year-1 and 13.73 ton ha-1 year-1. The three clones of P. deltoides including 97-17, 97-18, and Ay48 had higher sodium absorption than any other speci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 early defoliation, leaf damage and stem borer damage among species or clones. Based on the results given above, P. deltoides clone 97-18 and 97-19 are considered as the most suitable poplar clones for wood biomass production on reclaimed land. In this study, 3rd year harvesting was estimated to be beneficial for biomass production.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림조성
  2 수확주기 및 클론별 바이오매스 조사
  3 클론별 염분 흡수능력 조사
  4 클론별 활착율 및 피해조사
  5 클론별 적응능력 조사
  6 토양의 화학적 특성 조사
  7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클론별 바이오매스 생산량
  2 클론별 염분 흡수능력
  3 활착율 및 피해조사
  4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
  5 클론별 적응능력
 References
저자
  • 이현석(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Division of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Hyunseok Lee
  • 김현철(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식물증식팀, Plant Propagation Technology Team,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 Hyun-Chul Kim
  • 강준원(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Division of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Jun-Won Kang
  • 이위영(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Division of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Wi-Young Lee
  • 임혜민(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Division of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Hyemin Lim
  • 장경환(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Division of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Kyunghwan J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