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pread pattern of 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913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국내에서 2009년에 처음으로 보고된 미국선녀벌레는 지난 9년 동안 전국 단위로 확산되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은 미국선녀벌레가 도로변 주변의 수목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인위적인 요소들에 의해서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하여 왔지만, 실증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요소에 의한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미국선녀벌레가 처음 발견된 지점을 기준으로 매년 새로 발견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계산한 거리는 연도를 기준으로 회귀방정식을 통해 그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이용되었다. 또한 MaxEnt 프로그램으로 2013년의 발생 분포 지점과 인위적인 분산요소 중 하나인 교통량, 개체군의 정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포 모델에서의 각 변수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국선녀벌레의 확산은 개체군 성장에 따른 단순 확산이 아닐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교통량의 미국선녀벌레의 분포확산에 대한 기여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미국선녀벌레와 향후 침입할 가능성이 있는 외래종들을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 Min-Jung Kim(Entomology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Sunghoon Baek(Entomology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Young-gyun Park(Entomology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Joon-Ho Lee(Entomology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