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생들의 독도(Dokdo) 인식 및 바람직한 독도교육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erception of Dokdo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desirable policies on Dokdo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6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교과과정 중 독도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교과운영의 방안 마련 및 학습내용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정책과 중학교 사회2 교과서 지리 영역의 독도관련 학습주제와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중학생들의 독도에 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지리교과학습 중 실질적 독도교육의 강화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다.
2014년 교육부는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개정을 통해 학교에서의 독도교육을 강화하고 그에 따른 세부시행계획들을 비교적 잘 시행해오고 있으나 한편으로 독도교육 의무화 정책은 학교 현장에서 상당히 괴리된 채 진행되고 있는 문제점과 무엇보다 교육과정개편이 추진 되지 않아 그에 입각한 교과서 내 독도 관련 내용이 독도교육 강화 목표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향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다. 특히 지금까지 부족했던 지리 영역 내 독도 기술 내용은 양적, 질적 보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리학계의 지속적 연구 성과물 생산과 이를 학교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독도관련 정부 및 민간단체와의 협력적 관계를 모색하여 제한된 재정과 인력으로 실효적 수업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일선 학교에서의 독도수업을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ctual condi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Ⅱ and suggests directions of improvement for the curriculum with development of the content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Ⅱ textbook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Dokdo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trategies to strengthen Dokd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Geograph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inforced Dokdo education in schools through the amended system of Dokdo education contents and have been implementing details of the plan. However it is verified in this study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mandatory policy of Dokdo education and the reality in schools, and that contents in textbooks relating to Dokdo learning are discrepant from the policies. In particular, it seems that contents of Dokdo education in the Geography part are required to redeem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t is necessary to produce academic outcomes consistently in a geographical area and to be applied to geographic contents with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Dokdo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development of relationship with government agencies and NGO that can provide educational service to school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및 연구방법
 2. 독도교육 관련 교육정책 현황
 3. 중학교 사회2 교과서 독도교육 학습내용 분석
 4. 설문조사 결과 분석
 5. 문제점 및 대안제시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경근((재)독도재단 연구원) | Kyunggeun Park
  • 전기석(경산 사동고등학교 교사) | Kiseok Jeon
  • 신재열(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조교수) | Jaeryul Shi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