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영향력 비교 KCI 등재

A study on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 Comparing relative effects of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community contex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6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양한 비행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이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은 이들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집중을 해왔던 반면 이 요인들을 한 모델안에서 함께 고려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원인론 중 자아통제론과 자아존중감이론,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일상생활이론 등을 가지고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개인적 수준에서 자아통제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적 수준에서 가족의 화합정도와 부부의 갈등정도, 학교상황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교생활만족도,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유흥업소의 범람과 지역의 무질서, 그리고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력에 대한 인식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청소년비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력비행 재산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을 측정하였다. 1,122명의 서울시내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성별, 교급별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model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이 어느 정도는 모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자아통제와 가족통합정도, 학교에 대한 불신, 지역사회무질서, 유흥업소의 범람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교급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학생모두에게 자아통제력은 비행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흥업소의 수는 남녀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고 있지만 지역무질서는 남학생의 비행에만 영향을 준다는 차이를 보였다. 자아통제력은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에게 더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몇가지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personality, family attachment, school environment, and community climate in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As the analytical tools, it uses a variety of previous theories such as the self-control theory, the self-esteem theory, the social control theory, the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the routine activities theories. Using survey of 1,1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estimates their personal attributes and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ir parents, family school and community. Also, it attempts to find the kind and degree of deviant acts ranging from smoking, cheating, running-away to shotlifting, violent acts, and drug-sniffing. And then it analyzes how individual, family, school, community factors affect these delinquent acts. Analyses are separately conducted by gender and educational statu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general, all variables considered in the analyses found to be more or less related with various forms of delinquent acts: Low self-control significantly decreases th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Distrust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capacity of teachers seems to increase students' involvement in deviance. The existence of adult entertainment shops such as night clubs, bars, massage parlors, motels induces teens toward delinquency. More specificall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re school distrust and the street disorder of their residential commun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lf-control has the most explanatory power. Unlike expectations, family and community contexts have little impacts on their delinquent behaviors.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dult entertainment shops increase the chances of delinquent behaviors. For both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low self-control hinders their involvement in delinquency. But the community context of adult entertainment zones attracts the young and increases the involvement in deviant acts. Based on these findings, a few policy implications are mentioned.

목차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영향력 비교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분석의 틀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옥경(경기대학교) | Yoon,Ok Kyu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