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굴 패각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인산염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hosphate Removal Efficiency by Pre-Treatment Conditioning of Oyster Sh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4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굴 패각과 같은 반응성 재료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전처리 조건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 농도 제어를 목적으로 효율적인 굴 패각 사용을 위한 전처리 조건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굴 패각의 전처리(소성 온도, 소성 시간, 입자 크기)에 따른 인산염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XAFS 분석 및 등온 흡착 실험을 통해 굴 패각의 인산염 제거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소성 온도는 600°C, 소성 시간은 6 h, 입자 크기는 0.355~0.075 mm에서 우수한 제거 효율을 확인하였다. 등온 흡착 실험 결과 Langmuir 모델이 굴 패각의 흡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XAFS 분석 결과 600°C에서 소성시킨 굴 패각에는 인산칼슘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즉 굴 패각의 칼슘 이온 용출에 의한 인산칼슘 형성이 인산염의 농도 감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hosphate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pretreatment (pyrolysis temperature, pyrolysis time, particle size) of oyster shells as a basic study for their recycling. And XAFS analysis and isothermal ad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osphate removal characteristics of oyster shells. As a result, the removal efficiency was good at 600°C pyrolysis temperature with 6 hour pyrolysis time and 0.355 ~ 0.075 mm particle size. Isothermal adsorp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Langmuir model is suitable for adsorption of oyster shells. XAFS analysis showed that calcium phosphate formed on the oyster shell pyrolyzed at 600°C.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calcium phosphate by the calcium ion elution of the oyster shell contributes to the decrease of phosphate concentr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굴 패각
  2.2 인산염 제거 실험
   2.2.1 소성 온도에 따른 인산염 제거 실험
   2.2.2 소성 시간에 따른 인산염 제거 실험
   2.2.3 입자 크기에 따른 인산염 제거 실험
  2.3 등온 흡착 실험
  2.4 X-ray Adsorption Fine Structure (XAFS)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소성 온도에 따른 인산염 제거 효율 실험
  3.2 소성 시간에 따른 인산염 제거 효율 실험
  3.3 입자 크기에 따른 인산염 제거 효율 실험
  3.4 등온 흡착 연구
  3.5 XAFS 분석 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저자
  • 우희은(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Hee-Eun Woo
  • 김경민(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Kyeongmin Kim
  • 이인철(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In-Cheol Lee
  • 김경회(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Kyunghoi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