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식품 및 식중독 세균 우선순위 결정 KCI 등재

Ranking Determination of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for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icrobiological Food Safe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92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상쉽게 영향 받을 수 있는 식품과 관련 식중독세균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Risk Ranger를 활용한 Excel spreadsheet상의 모델을 개발하였고, 모델 입력값은 자료의 부족으로전문가 설문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확률분포모델과 @RIS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국내 식품중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위 5개 식품군과 이들식품과 관련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을 결정하였다. 추정결과, 상위 5종 식품과 관련 식중독 세균으로는 즉석섭취식품류(RTE)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떡류 및 빵류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육 및알가공품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 황색포도상구균), 두부류 또는 묵류 (바실러스 세레우스, 병원성대장균O157:H7, 황색포도상구균)였으며, 마지막으로 어육가공품(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anking foods and related foodborne pathogens for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e.g., increasing temperature, on microbiological food safety. To do this, we developed an impact-ranking model comprising an Excel spreadsheet by using Risk Ranger. Because of a lack of data, input values in this model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an expert’s opinion. These values also were converted to normal distribution,and the developed model was simulated using @RISK. In conclusion, the 5 superior ranking foods and related foodborne pathogens for climate change impact were as follows: ready-to-eat foods (RTE) (Staphylococcus aureus,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O157:H7); bread and rice cakes (S. aureus and Bacillus cereus); meat and egg products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and S. aureus); tofu (bean curds) and jellies (B. cereus, E. coli O157:H7,and S. aureus); and fish products (S. aureus, Vibrio spp., and E. coli O157:H7).

저자
  • 박경진(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orrespondence to
  • 하상도(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덕환(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