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KCI 등재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94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충남 금산과 진주 인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 및 인삼 제품 류 81점에 대해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수삼이 3.19~7.02 log CFU/g로 오염도가 가장 높았고, 백삼에서는 0.25~7.31 log CFU/g, 홍삼에서는 0~ 2.89 log CFU/g, 홍삼음료에서는 0~1.70 log CFU/mL 범위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홍삼음료를 제외한 수삼, 백삼 및 홍삼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그 오염 수준은 수삼의 경우 91.9%(34/37)에서 2.41 log CFU/ 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백삼은 53.3%(8/15)에서 0.98 log CFU/g, 홍삼은 13.3%(2/15)에서 0.50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곰팡이의 경우 수삼에서만 0.72~5.54 log CFU/ g범위로 검출되었고, 나머지 백삼(73.3%), 수삼(73.3%), 홍삼음료(21.4%)는 1 log CFU/g or mL 이하의 매우 낮은 수준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도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일부 제품은 인삼류 제품 검사기준을 초과한 경우도 존재 하기 때문에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한 위생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distributed in markets. A total of 81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samples (fresh ginseng 37, white ginseng 15, red ginseng 15, red ginseng beverage 14) were tested to analyze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major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in the range of 3.19 to 7.02 log CFU/g for fresh ginseng, 0.25 to 7.31 log CFU/g for white ginseng, 0 to 2.89 log CFU/g for red ginseng and 0 to 1.70 log CFU/mL for red ginseng beverage.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B. cereus was detected at levels of 0.50 to 2.41 log CFU/g in samples except red ginseng beverage. Fungi was detected at levels of 2.41 log CFU/g in fresh ginseng,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he other ginseng products samples were lower than 1 log CFU/g or 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were comparatively safe with respect to microbiological hazard.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준비
  위생지표세균의 측정
  병원성 미생물 확인
  곰팡이의 측정
 결과 및 고찰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의 오염도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
  곰팡이의 오염도
 요 약
 참고문헌
저자
  • 심원보(광주과학기술원 물리화학부) | Won-Bo Shim (School of Physics and Chemistry,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정숙(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eong-Sook Kim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세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Se-Ri Kim (Microbial Safety Team,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기환(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Ki-Hwan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정덕화(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Duck-Hwa Chung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