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설악산 지역 식물 종풍부도의 고도별 분포 패턴과 기후 및 지형인자의 상대적 중요성 KCI 등재

Elevation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nd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on the Mt. Seorak,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5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설악산 지역 남교리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구간의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 패턴 및 이러한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기후 및 지형인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생 조사 결과, 남교리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구간에서 총 71과, 147속, 211종의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이 가운데 목본식물은 91종(43%), 초본식물은 120종(57%)이 관찰되었다.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목본식물의 풍부도는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 초본식물의 풍부도는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러한 분포 패턴을 설명하는 요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목본 및 초본식물의 종풍부도는 기후 및 지형인자 모두에 의해 제어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변이분할을 통해 두 인자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목본식물의 풍부도는 기후인자가, 초본식물의 풍부도는 지형인자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규모 공간 수준에서의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풍부도 패턴과 그 제어인자는 목본 및 초본식물 사이에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levation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on the observed richness patterns from the Namgyori to the Daecheongbong Peak on the Mt. Seorak, South Korea. A total of 211 plant species belonging to 71 families and 147 genera were recorded along the transect. Of these plant species, woody and herbaceous plants were 91(43%) and 120(57%) species, respectively. The richness patterns of woody and herbaceous species along the elevational gradient showed monotonic decreasing and increasing patterns,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regression models,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simultaneously influenced on the richness patterns of woody and herbaceous plants. However, variation partitioning for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wo factors revealed that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woody and herbaceous plants, resp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ichness patterns of plant speci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may be different between plant groups such as woody and herbaceous plants along the elevational gradient on the Mt. Seorak, South Korea.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및 식생조사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 패턴
  2 종풍부도 패턴 제어인자
 References
저자
  • 이창배(한국임업진흥원 해외자원실, Global Resources Division,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 Chang-Bae Lee
  • 김형호(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 Hyung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