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외국 식중독균 위해관리 정책 비교 연구 KCI 등재

A Comparison Study of Foreign Nation’s Risk Management Program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6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제외국의식중독균별저감화사례를조사, 비교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식중독균 저감화 매뉴얼을 작성하며 저감화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 자료 확보를 목적 으로 수행하였다. 선진 외국(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의 현황 및 사례조사에는 인터넷 자료, 관련 기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미국의 신선농산물에서 미생 물학적 위험요소 저감화(FDA), 미국 분쇄쇠고기에서 E. coli O157:H7의 저감화(USDA), 덴마크의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화, 일본의 어패류에서 장염비 브리오 저감화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저감 프로그램의 배경, 전략, 효과를 조사하고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제외 국 정책 사례 연구와 국제기구 CODEX의 위해관리 체계 를 결합하고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식중독 저감화 관리 매뉴얼로 저감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모델을 다음 순서로 제시하였다: 1) 위해관리 초기판단, 2) 식중독 저감화 프 로그램 계획, 3) 대안 확인 및 선택, 4) 대안 실행(이해당 사자별 역할 설정 및 대안 방법 적용), 5) 감시 활동, 6) 중간 재검토, 7) 목적 달성 때까지 대안 실행 지속적 실시 (만일 대안이 효과가 없으면 대안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 식중독 저감화 목표 달성 시까지 실시), 8) 최종 평가에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필요시 비용 편익 분석 실시.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 및 식품안전의 이해당사자별 역할별로 도출된 식 중독 저감화 정책 모델 및 매뉴얼은 미생물학적 위해관리를 수행하는데 향후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foodborne pathogen risk management programs in a couple of developed countries by the expert meeting and searching the information on the web. The backgrounds, strategies and effects related to microbial hazards of the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s in fresh produce (US), Escherichia coli O157:H7 in ground beef (US), Salmonella in chicken, pork and eggs (Denmark),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Japan) were investigated for case study. A comparison among the pathogen reduction programs was conducted to fi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to bring out implications of the programs. A model for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both the CODEX risk management scheme and the case studies as follows; 1) preliminary risk management activities, 2) planing a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 3) option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4) implementation (conducting the each stake-holders role and applying the intervention methods), 5) monitoring activities, 6) interim review, 7) continuation or amendment of implementation method by the interim review before achieving the goal, and 8) final review and additional cost-benefit analysis if necessary. This proposed model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stake-holders can be used to conduct microbial risk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in the near future.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제외국의 식중독균 위해관리 정책 조사(Case study 1, 2, 3)
  국내 식중독 저감 프로그램을 위한 모델 작성
 결과 및 고찰
  Case study 1. 덴마크: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 정책
  Case study 2. 미국: 신선농산물과 쇠고기 분쇄육에서 E.coli O157:H7 저감 프로그램
  Case study 3. 일본: 어패류에서 장염비브리오 저감화 정책
  정책의 장단점 및 시사점
  식품에서 식중독균 저감화 관리 프로그램 모델 제안
 결 론
 요 약
 참고문헌
저자
  • 이종경(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 Jong-Kyung Lee Correspondence to
  • 신성균(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 Seong-Gyun Shin
  • 곽노성(서원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School of Convergence Bioscience and Technology, Seowon University) | No-Seong Kwak
  • 조윤희(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Yoon-Hee Cho
  • 곽효선(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Hyo-Sun Kwak
  • 박일규(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Il-Kyu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