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 한국대륙주변부 정동진 연안 지층의 지음향 모델 KCI 등재

Geoacoustic Model of Coastal Bottom Strata at Jeongdongjin in the Korean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9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지음향 모델링은 퇴적층과 기반암의 해저 지층을 통해 전파되는 음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연구는 동해 한국대륙주변부의 정동진 해역에서 50 m 퇴적층 심도의 4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층 모델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자료, SBP 자료, 퇴적물 코어에 근거한다. P파 속도는 신호투과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압전기 트랜스듀서의 공진 중심 주파수는 1 MHz를 유지하였다. 42개 P파 속도와 41개 음감쇠 측정이 세 개 코어 퇴적물에서 수행되었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P파 속도는 Hamilton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아래 현장 심도 속도로 보정하였다. 연안 지층의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정동진 해역에서 지음향 특성의 수직/수평 변화를 반영하는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Geoacoustic modeling is used to predict sound transmission through submarine bottom layers of sedimentary strata and acoustic basement. This study reconstructed four geoacoustic models for sediments of 50 m thick at the Jeongdongjin area in the western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Bottom models were based on the data of the highresolution air-gun seismic and subbottom profiles (SBP) with sediment cores. P-wave speed was measured by the pulse transmission techniqu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piezoelectric transducers was maintained at 1MHz. Measurements of 42 P-wave speeds and 41 attenuations were fulfilled in three core sediments. For actual modeling, the P-wave speeds of the models were compensated to in situ depth below the sea floor using the Hamilton method. These geoacoustic models of coastal bottom strata will be used for geoacoustic and underwater acoustic experiments reflecting vertical and lateral variability of geoacoustic properties in the Jeongdongjin area of the East Sea.

목차
서 론
 연구 자료 및 방법
 연구 지역과 해양 지질
 지층 모델
 결 과
  탄성파 자료
  코어 자료
  지음향 자료
  지음향 모델
 토 의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Woo-Hun Ry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성필(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 | Seong-Pil Kim (Pohang Branch,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ing Resources (KIGAM))
  • 김대철(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Dae-Choul Kim (Department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한주영(국방과학연구소) | Jooyoung Hahn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