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between Road and Public Openspace in front of Building Site Case of Openspace of Busan City hall in Korea ‐
본 연구는 도로변 선형의 가로녹지 조성이 고밀시가지 대로와 건물 사이에 조성한 보행로 및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부산시 중앙대로와 부산광역시청 건물 사이에 폭 약 70m로 조성된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가로녹지가 없는 지역의 경우 주중과 주말 모두 차도와 인접한 오픈스페이스의 농도차이가 미미하였으나, 반대로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지역은 차도에 비해 오픈스페이스의 농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로녹지가 조성된 지역은 차도와 보도 모두에서 미조성지역보다 미세먼지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차도와 건축물 사이가 넓은 공간의 경우 가로녹지의 조성이 전체적으로 도로 밖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차도보다 오픈스페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에 의해 발생한 미세먼지가 빠른 바람흐름에 의해 가로변 관목림을 통과하지만 바람흐름이 줄어든 보행공 간에서는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는 도심 도로변 지역의 경우에는 가로녹지가 오히려 바람에 의한 확산을 억제하여 하여 차량이동에 따른 부유 미세먼 지를 녹지 내부에 가두어 보도를 포함한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가로녹지의 조성에 있어 도로와 건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tructing streetside urban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PM) content in pedestrian paths and open spaces created between the main streets and buildings in a high-rise, high-density urban area. The study site is a 70m-wide open space between Busan City Hall and Jungang-street in Busa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nsity of PM differences between the open space and the adjacent main street were small in regions without linear trees and shrub rows during both the weekdays and weekend. On the other hand, the areas with linear trees and shrub row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PM compared to the roadway. In particular, sections with linear trees and shrub rows had higher PM levels both on roads and in adjacent open space, indicating that the composition of linear trees and shrub row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M in the off-street open space in areas with wide space between the roadway and building. The impac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open space than the roadway.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PM generated by vehicles flows through the roadside shrubs by rapid wind flow but does not disperse widely in the pedestrian paths where the wind flow was reduc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roadside tree and shrub walls slowed the flow of wind, causing vehicle-emitted PM to accumulate if a wide open space was created between the road and building, resulting in higher concentration of PM in the open space. We confir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oad and building was a critical factor for constructing linear trees and shrub rows to reduce PM generated by vehicle traff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