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stimation of storability for Korean apples (Malus domestica) using Md-ACS1 and Md-ACO1 DNA marker KCI 등재 SCOPUS

Md-ACS1 및 Md-ACO1 분자표지를 이용한 국내육성사과의 저장성 예측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37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사과는 에틸렌에 의해 호흡량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호흡급등형 과실이다. 에틸렌 발생은 세포벽분해효소 활성화와 세포벽 연화를 진행시켜 사과의 상품성과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사과의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는 Md-ACS1 및 Md-ACO1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으며, 두 유전자는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과 국내육성 28품종의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Fuji(FJ)', ‘RubyS (RS)', ‘Hongro(HR)', ‘Arisoo(AS)', ‘Summer King(SK)', ‘Greenball(GB)', ‘Golden Supreme(GS)'을 대상으로 수확 후 25일까지의 에틸렌 발생량 및 상온저장(20℃) 20일 동안의 경도 연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관련 된 대립유전자(favorable alleles0(FA)) ACS1-2, ACO1-1이 많을수록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GS은 ACS1-1/1, ACO1-1/2(FA 1)으로 모든 품종 중 가장 높은 에틸렌 발생 수치와 경도 연화율를 보였다. SK와 GB은 ACS1-1/2, ACO1-1/2(FA 2)으로 ACS1-2/2, ACO1-1/2(FA 3)인 HR와 AS 보다는 높고 GS 보다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을 보였다. ACS1-2/2, ACO1-1/1(FA 4)인 FJ는 RS를 제외한 모든 품종 중에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과 사과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연화율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d-ACS1 및 Md-ACO1 분자표지를 사과 국내육성 품종의 저장성 예측과 육종 효율 향상을 위한 Markerassisted selection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Apple (Malus domestica) is a climacteric fruit because of its high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Ethylene affects the fruit by decreasing its quality and storability. Md-ACS1 and Md-ACO1 genes are involved in ethylene biosynthesis in apple; the Md-ACS1-2 and Md-ACO1-1 alleles are associated with low ethylene production. We conducted an analysis to study Md-ACS1 and Md-ACO1, and to examine ethylene production and softening rate of fruit at room temperature (20℃) storage in ‘Fuji (FJ)’, ‘Golden Supreme (GS)’, and 5 cultivars of Korean apples (‘RubyS (RS)’, ‘Hongro (HR)’, ‘Arisoo (AS)’, ‘Summer King (SK)’, ‘Greenball (GB)’). The result showed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alleles (ACS1-2, ACO1-1) decreased the ethylene production and softening rate. The presence of ACS1-1/1, ACO1-1/2 was confirmed in GS and the highest ethylene production and softening rate was observed. Ethylene production and softening rate of SK and GB expressing ACS1-1/2, ACO1-1/2 were higher than that of HR and AS, expressing ACS1-2/2, ACO1-1/2, but lower than GS. FJ with ACS1-2/2, ACO1-1/1 showed the lowest ethylene production and softening rate among all cultivars except RS. The Md-ACS1 and Md-ACO1 DNA markers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estimate storability and applied in marker assisted selection the improve the efficiency of apple breeding.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및 DNA 추출
  Md-ACS1 및 Md-ACO1 primer를 이용한 PCR 분석
  에틸렌 발생량 측정
  경도 조사
 결과 및 고찰
  사과 국내육성품종의 Md-ACS1와 Md-ACO1 유전자형
  Md-ACS1와 Md-ACO1 유전자형에 따른 에틸렌 발생량
  상온저장 후 경도 연화율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Young Soon Kwon(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권영순
  • Soon-Il Kwon(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권순일
  • Seon Ae Kim(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김선애
  • Hun-Joong Kweon(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권헌중
  • Jingi Yoo(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유진기
  • Seulgi Ryu(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류슬기
  • In-Kyu Kang(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강인규
  • Jeong-Hee Kim(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정희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