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 of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ccording to soaking method in brine KCI 등재 SCOPUS

장 담금법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3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염수 침지 여부를 고려한 장담금법에 따른 저염 된장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염 농도를 달리하여 6개 월 동안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 함량에서는 염수 침지한 12% 메주 된장에서 55% 수준으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된장 시료들은 대략 60% 수분 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장 담금 초기부터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발효기간 내 8% 메주 된장의 경우 감소폭이 적었고 이는 산도 변화에서도 담금 직후부터 발효 6개월까지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환원당 함량은 1-2개월 내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발효기간 내 8% 메줏가루 된장이 가장 높아, 염도 및 장 담금법 간에 상관성은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는 담금 직후에는 염 농도가 낮을 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주 된장에서 메줏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발효초기에는 12% 메줏가루 된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줏가루 된장이 메주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시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α-Amylase 효소 활성은 모든 시료가 발효 초기에는 0.91-0.94 Unit/g 수준이었다가 이후 일정하게 감소하여 0.01-0.06 Unit/g 값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8% 메주 된장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Protease 효소 활성은 발효 2주차에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이후 감소하여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발효초기부터 메주 된장에서 메줏 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효 6개월째 메주 된장이 7.8-8.0 log CFU/g로 메줏가루 된장(7.2-7.5 log CFU/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맛 센서를 통한 맛 분석결과, 비록 12% 시판 된장에 비해 제조 한 된장이 높은 짠맛과 쓴맛, 낮은 풍미를 나타내었지만, 8% 메주 된장이 시판 된장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맛 패턴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기간 동안 장가르기 여부에 따라 메줏가루 된장에서 증가폭은 컸으나 메주 된장의 함량이 높았으며, 염도 8% 된장에서 12%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염수 침지 여부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장담금 과정을 거친 저염 된장이 품질 특성뿐만 아니라 맛 분석결과에서 좋은 평가를 나타내 었고, 아울러 메줏가루를 이용한 간편 저염 장류 제품 개발 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nufactured with or without soaking Meju in brine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s (8 and 12%) during fermentation for 6 months. The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of Doenjang fermented for 6 months were 54.9-60.3% and 7.8-12.5%, respectively. Doenjang using soaking Meju in brine ha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y than that using non-soaking Meju.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 all samples was increased until 2 months and then decreased regardless of soaking Meju, especially that of non-soaking 8% Doenjang was the highest. The 8% low-salt Doenjang was shown the highest amino-type nitrogen content, especially the soaking Doenjang was higher than the non-soaking Doenjang. α-amylase activity of all samples during fermentation were continuously decreased from 0.91-0.94 Unit/g to 0.01-0.06 Unit/g, especially the 8% soaking Doenjang was shown the highest activity after 2 months. Total bacterial count of the soaking Doenjang at the 6 months was in range of 7.8-8.0 log CFU/g and that of the non-soaking Doenjang was in range of 7.2-7.5 log CFU/g. By taste analysis, the 8% soaking Doenjang was shown the similar taste pattern with commercial Doenjang. In conclusion, the 8% low-salt Doenjang manufactured with soaking Meju in brine was a suitable concentration in order to reduce salt intak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재 료
  된장 제조
  수 분
  염 도
  pH
  산 도
  환원당
  색 도
  아미노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
  효소 활성
  미생물 수
  맛 센서 이용한 관능검사(taste sensing analysis)
  유리아미노산 함량 측정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수분 및 염도
  pH, 산도 및 환원당
  색 도
  아미노태 및 암모니아태 질소
  효소 활성
  미생물 변화
  맛 센서를 이용한 맛 성분 분석
  유리아미노산 함량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So-Young Kim(Fermented Food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김소영 Corresponding author
  • Yong-Sik Cho(Fermented Food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조용식
  • Shin-Young Park(Fermented Food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박신영
  • Na-Young Gil(Fermented Food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길나영
  • Bo-Young Choi(Fermented Food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최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