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센서를 이용한 코코넛 코이어 배지내 수분특성 측정 KCI 등재

Measuring Water Content Characteristics by Using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in Coconut Coir Substr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4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이용하여 코코넛 코이어 배지에서 급액 공급관리에 적합한 수분측정 장소를 찾고 보다 정밀한 측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급액구에서의 측정거리와 위치 그리고 노이즈 필터 사용에 따른 수분변화와 편차를 조사하였다. 시판되는 코코넛 코이어 슬라브 중 coir dust 와 chip의 함량이 10:0, 7:3, 5:5, 3:7인 배지들을 사용했고 배지 윗면과 측면에 급액구부터 5, 10, 20, 30cm의 거리를 두어 센서를 설치하여 동일한 급액을 공급한 후 수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노이즈 필터 사용 여부에 따른 수분변화는 내부가 균일한 인공토양인 글라스 비드를 포수하여 설치간격 0, 6, 12, 21cm에서 측정하였다. 배지조성에 상관없이 센서가 급액구에 가까울수록 높은 수분함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지 조성 3:7과 10:0에서는 윗면과 측면 측정에 따른 배지 수분함량 변화 특성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5와 7:3에서는 윗면을 측정시 보다 높은 수분함량 증가를 보였다. Chip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3:7 배지에서는 다른 배지들보다 수분함량 증가가 낮았다.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측정치 변동과 편차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코코넛 코이어 배지에서 FDR센서를 이용해 배지 수분 계측시 급액구에 가까운 거리의 윗면을 측정하는 것이 급액 이후 배지내 변화를 관측이 용이하다.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에는 센서 간 간격을 21cm 이상으로 넓게 설치하도록 하며, 노이즈 필터는 측정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을 권장한다.

This experiment has investigated suitable methods to improve precision water content monitoring of coconut coir substrates to control irrigation by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sensors. Specifically, water content changes and variations were observed at different sensing distances and positions from the irrigation dripper location, and different spaces between the FDR sensors with or without noise filters. Commercial coconut coir substrates containing different ratios of dust and chips(10:0, 7:3, 5:5, 3:7) were u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ide of the substrates, a FDR sensor was used at 5, 10, 20, 30cm distances respectively from the irrigation dripper point, and water content was measured by time after the irrigation. In the glass beads, sensors were installed with or without noise filtering. Closer sensing distance had a higher water content increasing rate, regardless of different coir substrate ratios. There were no differencies of water content increasing rates in 10:0 and 3:7 substrates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side. Whereas, 7:3 and 5:5 substrates showed higher increasing rates on the upper side measurements. Substrates with higher ratios of chip(3:7) had lower increasing rates than others. And, with noise filters, the exatitude of measurement was improved because the variation and deviation were reduced. Therefore, in coconut coir with FDR sensors, an efficient water content measurment to control irrigations can be achieved by installing sensors closer to an irrigation point and upper side of substrates with noise filter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 장비
  2. 거리와 센서 위치에 따른 배지내 수분함량 변화측정 성능 시험
  3. 노이즈 필터 활용에 따른 수분함량 변화 측정 성능시험
  4. 통계 처리 방법
 결과 및 고찰
  1. 거리와 센서 위치에 따른 배지내 수분함량 변화측정 성능
  2. 노이즈 필터 활용에 따른 수분함량 변화 측정 성능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박성태(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 Sung Tae Park
  • 정금향(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Technology Service Division, National Institur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Geum Hyang Jung
  • 유형주(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 Hyung Joo Yoo
  • 최은영(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Departmen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ersity) | Eun-Young Choi
  • 이용범(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 Yong-Beom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