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 수확 후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을 위한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적정 처리농도 구명 KCI 등재

Determin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 of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숙도 70%인 과실을 LPE 0(증류수, 대조구), 10, 50, 100mg·L-1 농도에 1분간 침지하거나, 딸기 꼭지에서부터 익은 비율로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L-1 농도에 1분간 침지한 후 실온(20oC±1)에서 40분간 자연건조 한 뒤 4oC 저장고에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생체중, 종경도, 횡경도, 색도 및 당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도 70% 과실을 수확 후 LPE 0, 10, 50, 100mg·L-1 농도에 침지 후 저장하며 과실의 생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처리 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는 저장 3일째에는 무처리구와 LPE 10mg·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6일째부터 12일까지는 10mg·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횡경도는 저장 9일째 10과 50mg·L-1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12일째에는 10mg·L-1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고 50과 100mg·L-1에서 가장 낮았다. 색차계 L*과 b* 값은 LPE 처리 농도별 저장 기간 별 유의차가 없었고, a* 값은 저장 12일째에 LPE 10mg·L-1 처리를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 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 mg·L-1 농도에 침지한 후 저장하였을 때 과실 생체중은 LPE 처리농도별 유의 차가 없었다. 종경도와 횡경도는 LPE 처리농도와 상관 없이 숙도 0% >50%> 70%> 100% 순으로 높았다. LPE 농도 처리에 의한 영향은 종경도는 숙도 70% 과실의 경우 저장 3, 6, 12일째 모두 LPE 5mg·L-1에서 가장 높았고 12일째는 LPE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숙도 100% 과실의 경우 저장 12일째에 LPE 10mg·L-1에서 종경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25mg·L-1에서는 종경도 및 횡경도 모두 가장 낮았다. 색차계 L, b 값은 LPE 처리와 관계없이 숙도 0% > 50% > 70% > 100% 순으로 높아 숙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숙도100%에서 가장 낮은 L*과 b*값이 측정 되었다. 숙도 50%와 70% 과실의 경우 저장기간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해 5mg·L-1에서 L*, b* 값이 가장 높았다. 숙도 100%의 경우 25mg·L-1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과숙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색차계 a* 값은 L*과 b*와는 반대로 그 값의 증가는 숙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도 0, 50, 70, 100% 모두에서 LPE 처리 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고, 당도는 처리별, 기간별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LPE는 저장 중인 딸기 과실의 생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도 및 색도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숙도 70% 과실은 타 숙도에 비해 저장성 증대효과가 크며, 숙도 70%일 때 처리농도 LPE 5mg·L-1에서 저장성 증대에 효과적 이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maturity of strawberry fruit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and its optimal concentration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Prior to application of treatments, fruits that were classified into levels of maturity (0%, 50%, 70% and 100%) were air-dried for 40 minutes an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t 4oC for 12 days. Fruits at 70% maturity were dipped into 0, 10, 50 and 100 mg·L-1 LPE solutions for 1 minute. A lower range of concentration (0, 2.5, 5, 10 and 25 mg·L-1) was applied to fruits at different maturity levels. Data on fresh weight, hardness at vertical and horizontal loading positions,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during storage were collected. Based on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 LPE concentr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fresh weight,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However, the application of 10 mg·L-1 LPE gave the highest hardness at vertical loading position while 100 mg·L-1 had the lowest average. At lower range of LPE concentrations, fresh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LPE application and maturity levels. Hardness of fruits was mainly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fruits. Increased hardness was observed in the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to the 5mg·L-1 of LPE solution. The hardness and Hunter’s L* and b* value of 100% matured fruits gave lowest values despite the application of 25 mg·L-1 LPE 12 days after storage.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식물 재배 및 환경
  2. LPE 침지처리
  3. 조사항목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딸기 매향 70% 숙도에 미치는 LPE 영향
  2. 과실 숙도에 따른 LPE 침지처리와 숙도 및 경도 변화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최기영(강원대학교 시설농업학과, Department of Controlled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Ki-Young Choi
  • 김일섭(강원대학교 원예학과, Department of Hort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Il-Seop Kim
  • 윤영식(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Young-Sik Yun
  • 최은영(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Eun-Young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