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bscisic acid(ABA) 및 fluridone의 처리가 ‘Hongro’ 사과의 과피 착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Abscisic Acid (ABA) and Fluridone on Red Coloration of ‘Hongro’ Apple Fruit Ski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식물 호르몬의 일종인 ABA의 처리가 사과 과피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착색이 시작되는 시기의 ‘Hongro’ 사과에 abscisic acid (ABA)와 ABA의 생합성 저해제인 fluridone (FD)을 처리한 뒤 과피의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ABA와 FD 처리에 의해 ‘Hongro’ 사과의 착색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피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hunter a값이 처리 7일 후까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제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과피의 hunter a값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ABA나 FD의 처리가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BA의 처리 직후 과피의 내생 ABA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처리 종료 시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FD 처리구의 과피 내 ABA함량은 처리 6시간 후부터 대조구보다 낮아지다가, 처리 4일 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ABA의 처리에 의해서 과피의 MdNCED2 (ABA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MdACO1 (ethlyene 생합성 유전자) 및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 중 MdCHS와 MdDFR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MdUFGT의 발현량은 ABA 처리에 의해서 변화가 없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ogenous abscisic acid (ABA) on the red coloration and endogenous ABA contents of apple fruit skins. ABA and fluridone (an ABA synthetic inhibitor, FD) was sprayed on ‘Hongro’ apple fruit skins at 107 days after full bloom (DAFB). Visual coloration and hunter’s color values were not affected by the ABA and FD treatments. Anthocyanin contents in fruit skins increased similarly to hunter a* values of fruit skins, but ABA and FD did not affect its accumulations.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revealed that endogenous ABA contents in control fruit increased at first and then decreased from 12 hours after the treatment. ABA treatment increased ABA contents in fruit skins from 2 hour after the treatment and it lasted until the end of the treatments. FD decreased ABA contents in fruit skins from 6 hours after the treatment. ABA treatment increased MdNCED2 (an ABA biosynthetic gene), MdACO1 (an ethylene biosynthetic gene), and MdCHS and MdDFR expressions. However, MdUFGT expressions were not affected by ABA treatment.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ABA 및 FD 처리에 의한 ‘Hongro’ 사과의 과피색 변화
  2. ABA 및 FD의 처리에 의한 과피의 내생 ABA 함량의 변화
  3. ABA의 처리에 의한 과피의 ABA, ethylene 및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류수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Suhyun Ryu Corresponding author
  • 권용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Yong Hee Kwon
  • 도경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Gyeong Ran Do
  • 정재훈(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Jae Hoon Jeong
  • 한현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Hyun Hee Han
  • 한점화(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Jeom Hwa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