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외선 차단제의 블루라이트 차단효과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Blocking Effect of Sunscreen Materials on Blue Ligh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파장으로 피부노화 유발 및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유해 기작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연구 및 관련 제형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측정과 관련된 시험법 또한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블루라이트 차단 효능 평가 시험법은 해외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방법을 참고하여 확립하였다. 국내에 고시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제 원료 27종 중 17종에 대하여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징크옥사이드가 14.97%,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16.32%,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이 35.47%, 티타늄디옥사이드가 65.96%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한 동일 함량의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확인한 결과 Nano-티타늄디옥사이드 보다 Micro-티타늄디옥사이드가 두 배 이상의 차단효과가 높게 나타냈다. 제시된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시험법은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탐색 및 화장품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lue light is the highest energy wavelength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nduces skin aging and active oxygen. Studies on harmful mechanism of skin are under way. Research on blue light blocking materials in cosmetics and formulation studies are in the early stage, and the test methods related to blue light blocking measurement are not established. The blue light blocking efficacy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test method of the sunscreen in vitro test(COLIPA guideline, ISO 24443, FDA Final Rule on Sunscreen Testing and Labeling). The blue light blocking effect was evaluated for 17 kinds out of 27 kinds of sunscreen raw materials suggested in KFDA guideline. The Effect was 14.97% for zinc oxide and 16.32% for bis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35.47% for methylene bis-benzotriazolyltetramethylbutylphenol, and 65.96% for titanium dioxide. In addition, the effect of micro-titanium dioxide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nano-titanium dioxid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ight blocking effect test method can be used to search for blue light blocking materials and study cosmetic formul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실험 재료
  2.2.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투과율 측정
  2.3. 티타늄디옥사이드 도포량에 따른 블루라이트 투과율측정
  2.4. 티타늄디옥사이드 입자 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투과율 측정
  2.5. 블루라이트 차단율 계산
 3. 결과 및 고찰
  3.1. 고시 자외선 차단제의 블루라이트 투과율
  3.2. 티타늄디옥사이드 제형의 도포량에 따른 블루라이트투과율 측정
  3.3. 티타늄디옥사이드 입자 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투과율 측정
 4. 결 론
 Reference
저자
  • 정상욱((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 Sang Uk Chung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시은((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 Si Eun Lee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종호((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 Jong Ho Park (KC Skin Research Center Co., Ltd.)
  • 최선영(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 Sun Young Choi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문권기((주)웨이나코리아) | Kwon Ki Moon (Research Center, Weina Korea Co., Ltd.)
  • 임소라((주)웨이나코리아) | Sora Lim (Research Center, Weina Korea Co., Ltd.)
  • 김혜경((주)결고은사람들) | Hae Kyoung Kim (Research Center, Kyulgoun people Co., Ltd.)